전체 글519 노(盧)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노(盧)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노씨성씨 노(盧)작품명조각가 盧柱煥(노주환)조형물번호 46 먼저 노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노씨 조형물은 명문석을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두 덩어리의 형상을 노 (盧씨)의 "노"자와 결합하여 구성하고 아홉 마리의 용을 조각하여 문중의 상징성을 기념비적인 형태로 표현 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노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노씨는 중국의 제(齊)나라 때 벼슬이 정경(正卿)이고 시호(諡號)가 경중(敬仲)인 고혜(高傒)가 큰 공훈을 세워, 지금은 산동성 장청현(山東省 長淸縣)인 노현(盧縣)을 채읍받아 그 지명을 취하여 성을 노(盧)씨라 칭하였습니다.노(盧)씨는 제대(齊代)로.. 2024. 6. 28. 풍천 임(任)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풍천 임(任)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풍천임씨성씨 : 임(任)작품명 : 비상(飛翔)조각가 : 임 선 빈 (전 대전조각가협회장)조형물번호 : 45먼저 풍천임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풍천임씨 조형물의 왼편기둥에 배치된 네 개의 구슬은 백파(伯派)의 4형제, 오른편 기둥의 두 개의 구슬은 중파(中派)의 형제를 상징합니다.기단부가 원형으로 된 것은 백, 중(伯, 中) 양파(兩派) 6종 형제 후손의 단합을 염원하고 있는 것이죠. 조형물 상단부의 봉황은 풍천임씨 문중의 진취적 기상을 나타낸 것이라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풍천임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풍천임씨의 시조는 은자광록대부 임온(溫)이다. 2세는 임가규(.. 2024. 6. 26. 초계 주(周)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초계주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초계 주씨성씨 주(周)작품명 (宗門成長繁榮)종문 성장 번영조형물번호 44먼저 초계주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2우리 주씨(周氏)는 주(周)나라 종실의 후예로서 주나라의 국명으로 성을 삼았습니다. 당(唐)나라 말엽에 한림학사공 주황(周璜)이 오이(五李)의 난리에 동국(東國)으로 피난하여 정착,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둥근해는 시조 학사공 주황(璜)을 뜻하며 받치고 있는 일자형은 고려선종 때 황금탑과 국청사를 창건 금자광록대부예부상서를 지낸 6세 문경공(文敬公) 주세후(世候)를, 상하 몸체는 아들 주지(砥) 주절 형제를 좌대에, 3계단은 옥천(沃川) 증평(曾平) 목천(木川) 3파를, 상단에 아홉개 조형물은 옥천 증평.. 2024. 6. 25. 해주 최(崔)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해주 최(崔)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해주최씨성씨 최(崔)작품명 밝음만이 있는 눈조각가 김 석 우 (충남대학교 예술대 교수)조형물번호 43 먼저 해주최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이 조형물은 전체적으로는 한자 '崔'자의 획이 담긴의미를 생명의 '눈'으로 조형화 했습니다. 상단의 '山' 이미지는 변함없는 푸르름과 우직스런 상징을 인간화 하였죠. 중단의 획과 탑형은 바른심성을 쌓아가는 디딤돌이며 자연과 인간의 중심을 도형화 하였습니다. 하단의 골반형상은 대지의 생명성을 무한대로 열어주는 터전을 담았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해주최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해주최씨는 고려시대부터 학자와 공신이 많은 고려 제1의 .. 2024. 6. 24. 이전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