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399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순평군(順平君)파 약사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에 관한 자료를 전주이씨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에서 발췌하여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에 차례대로 소개합니다.제왕별정종대왕순평군(順平君)순평군(順平君)파 약사순평군은정종대왕의 차남으로 모친은 숙의 행주기씨이다. 숙의 행주기씨는 4남을 낳았는데, 순평군 · 금평군 · 정석군 · 무림군이다. 순평군은 의성군과 의신부정의 두 아들을 두었는데 의성군의 자손은 절손됐고 의신부정의 자손만이 퍼져 나갔다. 의신부정은 3남을 두었는데, 장남과 차남은 무후(無後)했고 3남 의상령의 후손만이 번성했다. 의상령은 3남을 두었다. 이들의 순평군파 후손은 3개 지파로 나누어진다.문과 급제자 2명, 사마시 급제 몇 명 만을 배출한 순평군파는 순평군 묘소마저 실전했던 것을 14.. 2025. 6. 25.
정주 김씨(貞州金氏) 시조, 김수(金守), 정주김씨 조상인물 정주 김씨(貞州金氏) 시조, 김수(金守), 정주김씨 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정주김씨(貞州金氏)는 해풍부원군(海豊府院君) 김숭선(金崇善)의 후손으로 해풍김씨(海豊金氏)에서 분적(分籍) 된 계통(系統)이다.문헌(文獻)에 의하면 정주 김씨(貞州金氏)의 시조(始祖) 김수(金守)는 고려 때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한 김장(金 樟)의 현손(玄孫)으로 조선조(朝鮮朝)에서 부장(部將) 을 지내며 나라에 공(功)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務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누대(累代)를 정주(貞州)에 세거(世居)해 오면서 해풍 김씨(海豊金氏)에서 분적(分籍)하여 김 수(金 守)를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관향(貫鄕)을 정주(貞州)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계(上系)를 고증(考證)할 문헌이 없어 선계(先系)를 상고(詳考)할 수 없다.정.. 2025. 6. 17.
정산 김씨(定山金氏) 시조, 김복수(金福壽), 정산김씨 조상인물 정산 김씨(定山金氏) 시조, 김복수(金福壽), 정산김씨 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정산김씨(定山金氏)의 시조(始祖) 김복수(金福壽)는 신라(新羅)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15세손 김 한(金 漢)의 둘째 아들로 전한다.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조선조(朝鮮朝)에서 현감(縣監)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 연산군 때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문제삼아 신진사류가 훈구파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화)에 연루되어 정산(定山)으로 이거(移居)하였다가 다시 평안도(平安道)에 정착세거(定着世居)하며 광유(光酉)로 개명(改名)한 후 전 거주지였던 정산(定山)을 관향(貫鄕)으로 삼았다고 한다.정산(定山)은 충청남도(忠淸南道) 청양군(靑陽郡)에 속해 있는 지명(地名)으로 백제(百濟).. 2025. 6. 16.
전주 김씨(全州金氏) 시조, 김태서(金台瑞), 전주김씨 유래, 전주김씨 조상인물 전주 김씨(全州金氏) 시조, 김태서(金台瑞), 전주김씨 유래, 전주김씨 조상인물전주김씨시조 및 전주김씨유래(본관)전주김씨(全州金氏)의 시조(始祖) 김태서(金台瑞)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다.그는 고려 고종(高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1232년(고종 19)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상장군(上將軍) 등을 지냈으며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와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다.1254년(고종 4) 식읍(食邑)인 경주(慶州)가 몽고군(蒙古軍)의 병화(兵火)로 인하여 폐허(廢墟)가 되자 가족을 데리고 전주(全州)로 이거(移居)하여 살게 되었으며 그가 죽자, 나라에서는 고종(高宗)과 명종대(明宗代)에 이르기까지 요직을.. 2025.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