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중의 유래와 조형물190 낭주 최(崔)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낭주 최(崔)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낭주 최씨성씨 최(崔)작품명 지조와 절개조각가 최규철조형물번호 193먼저 낭주최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이 작품은 월출산의 돌출함을 표현하였습니다. 반원혈의 대나무는 人을 표현하며 조상의 높은 뜻과 서로 소통하는 통로이자 지조와 절개의 표상으로 현대조형의 흐름에 따라 단순화한 것입니다. 원형 전체의 윤곽으로 조상의 얼과 후손들이 융통무해하게 소통을 표현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낭주최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낭주최씨는 중국 제(齋)나라 태공망 후예가 최씨성을 얻었고 그 후손이 월출(月出) 낭주(朗州)골 성기동 영암(靈巖)의 너른 들판에 신라때부터 살아옴으로써 .. 2024. 12. 19. 남양 방(房)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남양 방(房)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남양 방씨성씨 방(房)작품명 화합(和合)조각가 이순덕조형물번호 192먼저 남양방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남양을 본관으로 둔 방씨는 중국(요나라) 단주에서 한반도(고구려) 남양에 정착하여 위훈미덕으로 계승발전과 번창을 주제로 공간성을 강조한 문(門)을 형용하였죠. 한쌍의 학(鶴)의 형상을 모티브로 현대적 기법인 기하학적 대칭 안정미를 조형적으로 형상화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남양방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방씨의 유래는 요순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선양을 받은 순임금이 요임금의 아들 단주(丹朱)를 방국(房國)에 봉한 후, 단주의 후손들이 국명인 방(房)을 성으.. 2024. 12. 17. 학성 이(李)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학성 이(李)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학성 이씨성씨 이(李)작품명 학성이씨의 기상조각가 이채국조형물번호 191먼저 학성이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학성이씨는 조선 세종 때 정치, 문화, 경제 등 여러 분야에 많은 공을 세은 충숙공 이예(李藝)를 시조로 합니다. 상부의 원은 문중의 단합과 화합을 상징하며 문화와 경제 도입에도 선구적 역할을 하였으며, 일찍이 세계를 향한 우리 선조의 자부심을 표현하였죠. 학은 고고하면서 미래 지향적이며 더욱 발전하는 문중의 기상을 표현하였습니다. 돛과 파도는 어떠한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진취적이고 도전적으로 살아온 우리 문중의 기백과 삶을존중하는 의미로 표현하였죠. 이 조형물은 선대의 업적을 기리고 후손들이.. 2024. 12. 16. 보성 선(宣)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보성 선(宣)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보성선씨성씨선(宣)작품명忠 · 義조각가조용호조형물번호190먼저 보성선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선씨 오충신의 보성선씨는 충렬(忠烈)의 가문으로 비상하는 곧은 직선 형태인 주 조형물로 그 기개를 표현했죠. 두 개인 듯 하나로 이어진 형태는 가문의 화합과 번성에 의미를 담아 무궁한 번영을 표상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보성선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보성선씨 시조 퇴휴당 선윤지는 명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당도한 후 서기 1382년 호남안렴사를 제수 받았습니다. 병권을 인수하여 호남지방에 침투한 왜구의 소굴을 소탕 하고, 특히 초토화된 조양, 복홀 두 현을 회복하여 백성.. 2024. 12. 15. 이전 1 2 3 4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