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찰사3

감찰시사(監察侍史) 감찰시사(監察侍史) 고려 때 감찰사(監察司)의 종5품 벼슬.시어사(侍御史)  정의고려시대 어사대의 종5품 관직.내용정원은 2인이며, 감찰시사(監察侍史)의 전신이다. 대관(臺官)으로서 시정의 논집(論執), 풍속의 교정, 규찰탄핵의 임무를 맡았다.어사대는 국초에 사헌대라 하다가 995년(성종 14) 5월에 어사대로, 1014년(현종 5) 11월에 금오대(金吾臺)로, 이듬해에 다시 사헌대로, 1023년(현종 14)에 어사대로, 1275년(충렬왕 1) 10월에 감찰사(監察司)로, 1298년(충렬왕 24) 3월에 사헌부로, 같은 해 8월에 다시 감찰사로, 1308년(충렬왕 34) 6월에 사헌부로, 1330년(충숙왕 17)에 감찰사로, 1356년(공민왕 5) 7월에 어사대로, 1362년 3월에 감찰사로, 1369년.. 2025. 3. 16.
감찰사헌(監察司憲) 감찰사헌(監察司憲) 1015년(고려 현종 6)에 금오대(金吾臺)를 사헌대로 고치면서 두었던 종6품 벼슬. 사헌대(司憲臺) 정의고려 초기의 감찰기구.내용983년(성종 2)경 설치되어 사헌대부(司憲大夫)·사헌중승(司憲中丞)·시어사헌(侍御司憲)·전중시어사헌(殿中侍御司憲)·감찰사헌(監察司憲) 등의 관원을 두었을 것으로 짐작된다.그 뒤 995년어사대(御史臺)로 바뀌었으며, 1014년(현종 5) 금오대(金吾臺)로 되었다가, 1015년 금오대를 파하고 다시 사헌대로 개칭하면서 대부·중승·잡단(雜端)·시어사헌·전중시어사헌·감찰사헌 등의 대관직을 두었으나, 1023년 다시 어사대로 바뀌었다.사헌대는 개경(開京) 외도 분사제도의 실시에 따라 서경(西京) 양계(兩界)에 분사(分司)사헌대를 설치하여 이 곳의 백관을 규찰, 탄.. 2025. 3. 15.
감찰사(監察史) 감찰사(監察史) 고려 감찰사(監察司)의 종6품 벼슬. 감찰사헌 감찰어사 감찰내사 감찰규정 사헌규정으로 고쳐짐.정의고려후기 감찰사(監察司)의 종6품 관직.내용고려시대 감찰사는 본래 사헌대(司憲臺)·어사대(御史臺)·금오대(金吾臺) 등으로 여러 차례 그 명칭이 바뀌면서, 배속되었던 관직명 또한 자주 바뀌게 되었다.1275년(충렬왕 1)에 어사대를 다시 감찰사(監察司)로 고치면서 종6품의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감찰사(監察史)로 하였고,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감찰사(監察司)를 다시 사헌부로 고치면서 감찰사(監察史)를 다시 감찰내사(監察內史)로 하였다.감찰사(監察史)는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조회(朝會)·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 202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