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슬 관직 용어88

광정대부(匡靖大夫) 광정대부(匡靖大夫) 1275년(충렬왕 1) 금자광록대부를 개칭하여 종2품 문관에게 주었던 관계. 정의고려시대의 정2품 문산계(文散階). 내용종2품계인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명칭이 바뀐 것으로 1275년(충렬왕 1)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308년에는 정2품이 되었고, 1310년에는 종2품의 상계가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는 다시 금자광록대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종1품의 상계가 되었다가, 1362년에는 다시 광정대부로 바뀌면서 정2품이 되었다.→문산계참고문헌『고려사(高麗史)』「고려시대(高麗時代)의 문산계(文散階)」(박용운, 『진단학보(震檀學報)』 52, 1981)집필자박용운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5. 6. 1.
광성대부(光成大夫) 광성대부(光成大夫) 조선 때 종친(宗親)에게 주었던 종4품 품계. 내용종친계는 왕의 친족들에게 주던 관계(官階)로, 1443년(세종 25) 12월에 문산계(文散階)로부터 독립하여 처음 제정되었다. 광성대부(光成大夫)는 종친계 대부(大夫)의 최하위 품계로, 관직은 부수(副守)였다. 1865년(고종 2)에 문산계의 조봉대부(朝奉大夫)로 바뀌었다.용례今宗室爵秩參酌古制及禮經 當據五服爲定 王子內中宮之子封大君 側室之子封君 (중략) 從四品奉成大夫 光成大夫 正五品通直郞秉直郞(『세조실록』 3년 1월 20일)참고문헌『경국대전(經國大典)』『대전회통(大典會通)』이성무, 『조선초기 양반연구』, 일조각, 1980.출처 : 위키실록사전 2025. 6. 1.
광록대부(光祿大夫) 광록대부(光祿大夫) 문관에게 주었던 품계로 고려 문종 때 종3품이었고, 1356년(공민왕 5) 종2품, 그 후 정2품으로 하였다. 정의고려시대 정2품 상계(上階)의 문산계.내용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던 문산계의 하나이다. 문종 때 제정되었다.995년(성종 14)부터 사용된 흥록대부(興祿大夫)의 후신으로서 1076년(문종 30)에 이 명칭으로 바뀌었는데, 계품은 종3품으로 전체 29등급 가운데 제5계였다.그뒤 1298년에 충선왕이 즉위하여 다시 흥록대부로 바꾸면서 정2품계가 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는 다시 광록대부로 환원되면서 종2품 상계가 되었으나, 1369년에는 또다시 정2품 상계로 승급되었다. →문산계참고문헌『고려사(高麗史)』「고려시대(高麗時代)의 문산계(文散階)」(.. 2025. 6. 1.
광덕대부(光德大夫) 광덕대부(光德大夫) 조선 때 의빈부(儀賓府)에 속한 종1품 품계(品階). 정의조선시대 종1품 상계(上階) 의빈계(儀賓階)의 위호(位號).내용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설치하였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였다.『속대전』에서는 정덕대부(正德大夫)로 개칭하였으나, 조선 후기에는 의빈들에게도 일반 문산계를 적용하게 되어 이 위계명은 사용되지 않았다. → 의빈계참고문헌『세종실록(世宗實錄)』『경국대전(經國大典)』『속대전(續大典)』『대전회통(大典會通)』『조선초기양반연구(朝鮮初期兩班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朝鮮初期の文武散階」(李成茂, 『朝鮮學報』102, 1982)집필자이성무(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출처 : 한국민족문.. 2025.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