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1 여산 송(宋)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여산 송(宋)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여산송씨 #뿌리공원 #문중의유래 #성씨와본관 #한국인의성씨 #효월드여산송씨성씨 : 송(宋)작품명 : 결실(結實)조각가 : 임 선 빈 (전 대전조각가협회회장)조형물번호 : 11먼저 여산송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여산송씨의 후손들이 협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는 문중이 되길 기원하며, 무궁한 번영을 기약하는 미래지향적 희망을 나타내고 있죠.시조 송유익과 두 형제를 중심의 씨알로 표현하여 생동감 있게 성장되어가는 진취적 기상을 표현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여산송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여산 송씨는 역사상 많은 현신과 석학을 배출했습니다. 특히 민족이 국.. 2024. 5. 4. 당상관(堂上官)과 당하관(堂下官)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당상관(堂上官)과 당하관(堂下官),참상관(參上官)과 참하관(參下官)의 차이를 알려주세요?#당상관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조선시대 관직은 크게 당상관(堂上官)과 당하관(堂下官) 둘로 나눌수 있습니다.그리고 당하관 밑으로는 참상관(參上官)과 참하관(參下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당상관(堂上官)은 조선의 관직 가운데 최고의 관직으로서 임금과 함께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정치적 책임을 갖는 정 3품 이상의 직책을 뜻합니다.최고의 권력기관인 조정에서 정사를 논할때 당(堂)위에 올라 앉을 수 있는 관직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품계로는 정3품으로 문반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무반계는 절충장군(折衝將軍)이상의 품계가 당상관이며,당상관이 아닌 그 아래 품계의 자리는 모두 당하관(堂下官)입니다.당상관 관복.. 2024. 5. 2. 임(林)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평택, 선산, 진천, 예천, 부안, 울진, 은진, 순창, 경주, 옥야) 오늘은 임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임씨성씨 : 임(林)작품명 : 화합조각가 : 임립(임씨유래 조형물 중수일 2004.6.8.)조형물번호 : 10먼저 임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인간과 자연의 신비로운 탄생을 담고 중심부의 열려진 공간은 영원한 인간상을 상징하죠. 또한 새로운 생명의 도출, 개화, 열매의 형상을 수풀임(林)자의 획에 담긴 우뚝솟은 느낌과 인간의 표정을 담아 보다 풍요로운 세계상을 음, 양의 조화를 통해 형상화한 임씨의 상징물이라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임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임씨(林氏)는 우리나라 성씨 중 오랜 역사를 지닌 명문으로, 우리나라 성씨 중 10위권에 드는 대성이다.임씨는 은나라 태.. 2024. 5. 1. 광주 이(李)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광주이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함께하시죠. 광주이씨성씨 : 이(李)작품명 : 화 목(和睦)조각가 : 김 지 삼조형물 번호 : 9먼저 광주이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우리 사회의 안정은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죠. 이 작품은 화목한 가정을 상기시켜 엄마 아빠가 서로 마주보며 애정으로 대화하고, 서로 손을 마주잡고 따뜻한 정이 교감함을 내포하며 부모의 양 무릎을 기대놓은 것은 부부가 서로 의지함을 나타냅니다. 부모의 품에 양손으로 아이를 감싸안음은 영원한 번영으로 광주이씨의 후손들에게 축복의 결실을 기원하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광주이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광주이씨(廣州李氏)의 시조 이자성(李自成)은 .. 2024. 4. 30. 이전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