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4

밀양 손(孫)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밀양 손(孫)씨 문중의 유래를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밀양 손씨성씨 손(孫)작품명 忠孝와 淸白의 氣象조각가 박 수 용조형물번호 53먼저 밀양손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조형물은 문효공(文孝公) 손순(孫順)의 석종(石鐘)의 기적과 의암 손병희(孫秉熙)선생의 애국정신을 현대적으로 조형화하였죠. 효의 상징인 석종을 바탕에 두고 태극으로 문중의 뿌리와 기상을 표현하였습니다. 용의 힘찬 위용과 횃불은 자손만대의 영원함과 번영을 상징하죠. 조상의 충효정신을 우렁찬 종소리에 실어 만세에 울려퍼지는 기상을 나타내었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밀양손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약 2천백년전 진한(辰韓)땅에 육촌(六村)중 무산 대수촌장 구례마(茂山 大.. 2024. 7. 11.
흥양 이(李)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흥양 이(李)씨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흥양이씨성씨 이(李)작품명 旭日飛天(욱일비천)조각가 최 영 근 (한남대학교 응용미술과 교수)조형물번호 52먼저 흥양이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조형물은 태양과 같이 빛나는 흥양이씨의 대동 단결과 화합을 다지며 선대조의 고귀한 정신을 받드는 뜻을 상징한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흥양이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흥양이씨 씨족의 연원(淵源)은 1149년(고려毅宗3년 己巳)에 고려조의 상서(尙書)를 역임하신 이언림(李彦林) 시조에서 발원하여 1331년(고려忠惠王 1年 辛未) 흥양군(興陽君)을 수봉하고 관향을 흥양(全南高興)으로 하사 받은 제7세조 이길(李吉) 선조 이래 그 후.. 2024. 7. 10.
상산 김(金)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상산김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상산 김씨성씨 김(金)작품명 포용조각가 김 광 열조형물번호 51먼저 상산김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3이 조형물의 뜻은 성(金字)을 표시하고 상산 김씨들이 세계를 포용하는 상징입니다. 상산 김씨의 자손들이 한국은 물론 5대양 6대주에 발판을 굳혀 야심찬 의지와 전래의 삼신사상 및 천지인의 상생원리에 음양의 조화를 이루며 우주 진리에 순응하는 영원한 발전을 기약 하는데 힘과 뜻을 두었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상산김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상산 김씨 시조는 김수(金需)로 벼슬이 고려 때 보윤(甫尹)이었습니다. 시조는 고려조 때 상산 또는 상주에서 개기 하고 자손 만대의 터전.. 2024. 7. 9.
충주 홍주 석(石)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충주 / 홍주석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충주/홍주석씨성씨 석(石)작품명 영원(永遠)한 가족(家族)조각가 김학제조형물번호 50먼저 충주 홍주 석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작품은 굳건한 주춧돌의 상징인 세 기둥과 이것을 화합하는 삼각형의 화강석 위에 어깨동무하고 있는 인물과 불꽃의 정동조각을 배치하여 영원히 발전하는 성씨(姓氏)의 미래를 조형화 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충주 홍주 석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시조 석린(石隣)은 중국에서 고려로 와서 의종 경인란(1170년)과 명종 병신란(1176년)을 평정한 공으로 성장군에 올라 예성군(蘂城君)에 봉해졌습니다. 그후 봉군지(封君地) 예성(현:충주.. 2024.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