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은 상곡마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상곡 마씨
성씨 마(麻)
작품명 비상(飛翔)
조각가 박덕인
조형물번호 40
먼저 상곡마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상곡 마씨
성씨 마(麻)
작품명 비상(飛翔)
조각가 박덕인
조형물번호 40
먼저 상곡마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작품은 학처럼 고고한 선비의 청백리와 상곡마씨(上谷麻氏) 문중의 번영과 화합, 더 넓은 세계에 끝없이 번창함을 상징한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상곡마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한국에 살고 있는 마씨는 정유재란 때 명나라 원군의 제독(提督) 마귀(麻貴) 장군의 후손입니다. 1597년(선조) 임진왜란에 이어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마귀 장군은 명나라 구원병의 제독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뛰어난 용병술로 도처에서 왜적을 무찔러 국가 위기 회복에 큰공을 세우신 분입니다. 왜란이 끝나자 1599년 (선조32)봄에 본국으로 돌아가시고 그 뒤 증손 마순상(麻舜裳)이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이 나라 마씨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마씨의 본관은 중국 하북성 상곡이며 그 시조는 회회왕국(回回王國)의 왕이었던 마립(麻立)공입니다. 1512년 회회왕국이 망하게 되었을 때 6세였던 태자 마록 (麻祿)공이 신하의 등에 업혀 안남국(安南國)으로 망명하여 왕에게 의탁 성장하여 왕의 사위가 되고 그 뒤 1522년 중원(中原)으로 들어가 벼슬을 하여 총병관 및 포정사 등을 지냈으니, 그의 자는 윤집(允執) 호는 지지당(知止堂)입니다.
마귀 장군은 마록공의 아들로써 자는 명회(溟回) 호는 이천(而泉) 시호는 충무후(忠武侯)입니다. 마귀 장군의 아들 마승은(麻承恩)은 대동초병관을 지냈으며 손자 마암(麻巖)은 조부와 함께 정유재란에 참전한 후 1619년에 후금(後金)과의 싸움인 심하싸움에서 총병관으로 활약하다가 순절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귀화한 마귀장군의 증손 마순상은 남경통판겸 조병독량사로 산동성 등주의 군량을 배를 타고 순찰 감독하다가 1627(인조5) 9월에 묘도(廟島)에서 풍랑을 만나 3일만에 황해도 풍천에 이르렀는데 함께 탔던 29명은 모두 죽고 혼자 살아남아 이 나라에 귀화하였습니다.
그후 마순상은 풍천서 홍주를 거쳐 전라남도 광주군 외거면 용산리에 이주하여 함창현감 강덕용(姜德龍)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마봉직(蓬直)을 두었습니다. 그리고 조정의 도움을 받아 중국 요녕성 태안현에 있던 마암공의 묘를 평안북도 강계군 압록리로 이장하였다가 다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참읍 동변리 자규산으로 이장 보호하고 있습니다.
헌종 때 조정에서 마귀 장군의 9대손 마시가(麻時可)에게 삼(麻)은 여름 비단이란 뜻으로 하백(夏帛)이란 이름을 내리고 비단에는 베틀이 제격이라면서 기장(機張)현감을 제수하고 이어 후주도호부사를 제수하였습니다.
그의 아들 마두원(麻斗元)도 과거에 급제하여 1890년(고종27) 곽산군수가 되고 이어 강화부중군에 봉직하던 중 일본이 침략함에 이에 항거하다가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 돌아와 의병동지를 규합하고 독립운동에 앞장서 활약하다가 1919년 4월10일에 일본 경찰에 붙잡혀 끌려가 옥고를 치루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정유재란 이후 이 나라에 충성하며 뿌리를 내린 상곡마씨는 경상남도 함천군 봉산면 송림리에 마귀 장군의 묘단소(墓壇所)를 설치하고 선조(宣祖)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영정(影幀)을 종가에 봉안 춘추로 숭모제를 올리며 공을 시조로 하고 세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내가 어릴때 4년만 글을 읽고 벼슬하는 길에 전념하고 다니다가 무식을 면하지 못하여 공적을 많이 기록하지 못하니 슬픈 탄식을 이기지 못하노라. 이를 생각 하면 어찌 글을 힘써서 배우지 아니 하리오.
후손들은 첫째 조정의 이해 득실에 대하여 말하지 말고, 둘째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지 말라. 비록 금지(金枝)옥엽(玉葉)이라도 이 땅에 외로이 남긴 흔적이 잘못되면 괴로움과 어려움을 면하지 못하고, 또 죽고 삶을 알 수 없으니 입을 병(甁)의 부리와 같이 지켜야 한다. 말에 충성과 믿음이 있고, 행실이 돈독하고, 공경하면 가는 곳마다 허물이 없어지니 대대로 조심하라(뿌리공원 문중의 유래비 인용).
한국에 살고 있는 마씨는 정유재란 때 명나라 원군의 제독(提督) 마귀(麻貴) 장군의 후손입니다. 1597년(선조) 임진왜란에 이어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마귀 장군은 명나라 구원병의 제독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뛰어난 용병술로 도처에서 왜적을 무찔러 국가 위기 회복에 큰공을 세우신 분입니다. 왜란이 끝나자 1599년 (선조32)봄에 본국으로 돌아가시고 그 뒤 증손 마순상(麻舜裳)이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이 나라 마씨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마씨의 본관은 중국 하북성 상곡이며 그 시조는 회회왕국(回回王國)의 왕이었던 마립(麻立)공입니다. 1512년 회회왕국이 망하게 되었을 때 6세였던 태자 마록 (麻祿)공이 신하의 등에 업혀 안남국(安南國)으로 망명하여 왕에게 의탁 성장하여 왕의 사위가 되고 그 뒤 1522년 중원(中原)으로 들어가 벼슬을 하여 총병관 및 포정사 등을 지냈으니, 그의 자는 윤집(允執) 호는 지지당(知止堂)입니다.
마귀 장군은 마록공의 아들로써 자는 명회(溟回) 호는 이천(而泉) 시호는 충무후(忠武侯)입니다. 마귀 장군의 아들 마승은(麻承恩)은 대동초병관을 지냈으며 손자 마암(麻巖)은 조부와 함께 정유재란에 참전한 후 1619년에 후금(後金)과의 싸움인 심하싸움에서 총병관으로 활약하다가 순절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귀화한 마귀장군의 증손 마순상은 남경통판겸 조병독량사로 산동성 등주의 군량을 배를 타고 순찰 감독하다가 1627(인조5) 9월에 묘도(廟島)에서 풍랑을 만나 3일만에 황해도 풍천에 이르렀는데 함께 탔던 29명은 모두 죽고 혼자 살아남아 이 나라에 귀화하였습니다.
그후 마순상은 풍천서 홍주를 거쳐 전라남도 광주군 외거면 용산리에 이주하여 함창현감 강덕용(姜德龍)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마봉직(蓬直)을 두었습니다. 그리고 조정의 도움을 받아 중국 요녕성 태안현에 있던 마암공의 묘를 평안북도 강계군 압록리로 이장하였다가 다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참읍 동변리 자규산으로 이장 보호하고 있습니다.
헌종 때 조정에서 마귀 장군의 9대손 마시가(麻時可)에게 삼(麻)은 여름 비단이란 뜻으로 하백(夏帛)이란 이름을 내리고 비단에는 베틀이 제격이라면서 기장(機張)현감을 제수하고 이어 후주도호부사를 제수하였습니다.
그의 아들 마두원(麻斗元)도 과거에 급제하여 1890년(고종27) 곽산군수가 되고 이어 강화부중군에 봉직하던 중 일본이 침략함에 이에 항거하다가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 돌아와 의병동지를 규합하고 독립운동에 앞장서 활약하다가 1919년 4월10일에 일본 경찰에 붙잡혀 끌려가 옥고를 치루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정유재란 이후 이 나라에 충성하며 뿌리를 내린 상곡마씨는 경상남도 함천군 봉산면 송림리에 마귀 장군의 묘단소(墓壇所)를 설치하고 선조(宣祖)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영정(影幀)을 종가에 봉안 춘추로 숭모제를 올리며 공을 시조로 하고 세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내가 어릴때 4년만 글을 읽고 벼슬하는 길에 전념하고 다니다가 무식을 면하지 못하여 공적을 많이 기록하지 못하니 슬픈 탄식을 이기지 못하노라. 이를 생각 하면 어찌 글을 힘써서 배우지 아니 하리오.
후손들은 첫째 조정의 이해 득실에 대하여 말하지 말고, 둘째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지 말라. 비록 금지(金枝)옥엽(玉葉)이라도 이 땅에 외로이 남긴 흔적이 잘못되면 괴로움과 어려움을 면하지 못하고, 또 죽고 삶을 알 수 없으니 입을 병(甁)의 부리와 같이 지켜야 한다. 말에 충성과 믿음이 있고, 행실이 돈독하고, 공경하면 가는 곳마다 허물이 없어지니 대대로 조심하라(뿌리공원 문중의 유래비 인용).
https://youtu.be/zIShGYE750Q?si=m2leaXlx33mjYqas
728x90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吳)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2) | 2024.06.23 |
---|---|
남양 홍(洪)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2) | 2024.06.21 |
행주 은(殷)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4.06.18 |
여흥 민(閔)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4) | 2024.06.13 |
청주 한(韓)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1)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