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은 해남 윤(尹)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해남윤씨
성씨 윤(尹)
작품명 번영의 횃불
조각가 남형돈
조형물번호 240
먼저 해남윤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작품의 상단은 한글 ‘윤’자를 조형적으로 표현하였죠. ‘ㅇ’과 ‘ㅠ’자는 불타오르는 횃불을 받들고 있는모습으로 해남윤씨의 기상과 번영을 보여주고 있으며, 섬세한 조각으로 ‘붓’을 표현함으로써 ‘윤’자를 완성하고자 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해남윤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해남윤씨 시조 윤존부(存富)는 고려 문종 때 인물이며, 중시조 8세 윤광전(光琠)은 고려 충숙왕 때사온직장영동정 봉직 후 가솔을 데리고 전남 강진(탐진) 덕정동을 세거지로, 후손이 번연하여 8파(장파長派, 죽사동파竹寺洞派, 지석파支石派, 부춘파富春派, 항촌파項村派, 용산파龍山派, 어초은파漁樵隱派, 충남파忠南派)를 이루었습니다.
해남윤씨가는 조선 중종(1506-1544)때 해남의어초은 윤효정(孝負)이 심한 기근으로 세금을 내지 못한 농민들을 감옥에 가두는 안타까움을 보고 옥문을 세 번이나 열어 구휼함이 칭송되어 중종 임금이 "삼개옥문 적선지가라 하며, 그 자손들에게 잡역을면제하게 하라"고 왕명서를 전달하였죠. 장자 귤정 윤구(衢)는 중종 8년(1513) 문과에 급제하였고, 관을 해남으로 하여, 기묘명현으로 학문과 문장지절이 높아 호남삼걸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해남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죠 .정묘왜변 · 임진왜란 · 정유재란, 병자호란 등선조들은 가솔과 함께 의병을 이끌고 나라를 수호하는데 큰 공적을 세워, 특별히 7분의 선조가강진 화암사에 모셔져 있습니다.
중요한 사료는 도선산 한천동 영모당, 덕정동 추원당,고려 공민왕 3년(1354) 노비허여문기, 임오보 목판본, 가전고화첩, 조선 효종(1658)이 윤선도에 내린 해남
녹우당과 금쇄동이 국가사적지, 완도 보길도 윤선도 원림 등의 국가 명승지가 있고, 공재 윤두서 자화상은 국보 제240호로 지정되었죠. '고산윤선도유물 전시관, 국립중앙박물관, 규장각' 등에 유물 · 고서 등 1만 5천 점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고산 윤선도는 모든 학문을 탐구한 대선비이며국문학의 대가로 오우가, 어부사시사는 널리 애송되고 있죠. 공재 윤두서는 회화의 거목이며 3대가 선미 화가이죠. 죽록 윤효관은 순조 때에 영월부사로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있습니다.
바오로 윤지충은 천주교 최초 순교자로 성인이며, 방산 윤정기는 다산학의 계승자입니다. 제12대 윤관 대법원장, 대법관을 역임한 윤일영 제7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공직 · 국회의원 · 학자 · 법조인 · 언론인 · 기업인 등이 각계에서 국가 발전에 헌신하고 있죠. 해남윤씨는 학문과 예술, 충효사상을 계승하며 명문가로 이어갈 것입니다.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남윤씨의 인구는 66,394명이었습니다.
해남윤씨 시조 윤존부(存富)는 고려 문종 때 인물이며, 중시조 8세 윤광전(光琠)은 고려 충숙왕 때사온직장영동정 봉직 후 가솔을 데리고 전남 강진(탐진) 덕정동을 세거지로, 후손이 번연하여 8파(장파長派, 죽사동파竹寺洞派, 지석파支石派, 부춘파富春派, 항촌파項村派, 용산파龍山派, 어초은파漁樵隱派, 충남파忠南派)를 이루었습니다.
해남윤씨가는 조선 중종(1506-1544)때 해남의어초은 윤효정(孝負)이 심한 기근으로 세금을 내지 못한 농민들을 감옥에 가두는 안타까움을 보고 옥문을 세 번이나 열어 구휼함이 칭송되어 중종 임금이 "삼개옥문 적선지가라 하며, 그 자손들에게 잡역을면제하게 하라"고 왕명서를 전달하였죠. 장자 귤정 윤구(衢)는 중종 8년(1513) 문과에 급제하였고, 관을 해남으로 하여, 기묘명현으로 학문과 문장지절이 높아 호남삼걸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해남윤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죠 .정묘왜변 · 임진왜란 · 정유재란, 병자호란 등선조들은 가솔과 함께 의병을 이끌고 나라를 수호하는데 큰 공적을 세워, 특별히 7분의 선조가강진 화암사에 모셔져 있습니다.
중요한 사료는 도선산 한천동 영모당, 덕정동 추원당,고려 공민왕 3년(1354) 노비허여문기, 임오보 목판본, 가전고화첩, 조선 효종(1658)이 윤선도에 내린 해남
녹우당과 금쇄동이 국가사적지, 완도 보길도 윤선도 원림 등의 국가 명승지가 있고, 공재 윤두서 자화상은 국보 제240호로 지정되었죠. '고산윤선도유물 전시관, 국립중앙박물관, 규장각' 등에 유물 · 고서 등 1만 5천 점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고산 윤선도는 모든 학문을 탐구한 대선비이며국문학의 대가로 오우가, 어부사시사는 널리 애송되고 있죠. 공재 윤두서는 회화의 거목이며 3대가 선미 화가이죠. 죽록 윤효관은 순조 때에 영월부사로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있습니다.
바오로 윤지충은 천주교 최초 순교자로 성인이며, 방산 윤정기는 다산학의 계승자입니다. 제12대 윤관 대법원장, 대법관을 역임한 윤일영 제7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공직 · 국회의원 · 학자 · 법조인 · 언론인 · 기업인 등이 각계에서 국가 발전에 헌신하고 있죠. 해남윤씨는 학문과 예술, 충효사상을 계승하며 명문가로 이어갈 것입니다.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남윤씨의 인구는 66,394명이었습니다.
https://youtu.be/zIShGYE750Q?si=IDei2-_gmbyauSKA
728x90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안 유(兪)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 (0) | 2025.02.11 |
---|---|
교동 인(印)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5.02.11 |
금천 강(姜)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5.02.10 |
탐진 최(崔)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5.02.09 |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시중공(侍中公)파 약사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