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372

안로김씨시조(安老金氏),김지경(金之敬),안로김씨 조상인물 안로김씨시조(安老金氏),김지경(金之敬),안로김씨 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안로김씨(安老金氏)의 시조(始祖) 김지경(金之敬)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자(孫子)인 김운발(金雲發:나주 김씨의 시조)의 후손이다.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정확한 계대(系代)를 상고(詳考)할 수 없으며,「신라김씨연원도(新羅金氏淵源圖)」에는 지경(之敬)이 경순왕의 둘째 아들 김 횡(金 鍠)의 15세손으로 나타나 있고,「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호장 중윤(戶長中尹)을 지낸 김득장(金得章)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호장(戶長) 득장(得章)의 아들 극순(克淳)은 고려조(高麗朝)에서 무관(武官)으로 대장군(大將軍 : 상장군의 다음 벼슬인 종3품 관직)을 역임했고, 후손들이 누대(累代)에 걸쳐 안로(安老)에세거(世.. 2025. 5. 6.
안동김씨(安東金氏)(구),안동김씨 시조, 김숙승(金叔承) , 안동김씨 조상인물, 안동김씨 유래 안동김씨(安東金氏)(구),안동김씨 시조, 김숙승(金叔承) , 안동김씨 조상인물, 안동김씨 유래 시조 및 본관의 유래(始祖 本貫由來)안동(安東)은 경상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의 창녕국(昌寧國)이었는데 신라시대에는 고타야국(古陀倻國), 고창군(古昌郡)으로 불리웠고, 고려 태조(太祖)가 견 훤(甄 萱)과 싸워 전공을 세움으로써 안동부로 승격되었다. 그후 영가군(永嘉郡) 또는 복주(福州)로 개칭되었다가 1361년(공민왕 10)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승격되었다. 안동 김씨(安東金氏)의 시조 김숙승(金叔承 : 고려 때 공부 시량과 평장사를 역임)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자이며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둘째 아들이다.누대(累代)로 안동(安東)에 세거(世居)해 오던 안동 김씨는 숙승(叔承.. 2025. 5. 4.
안동김씨(安東金氏)(신)의 시조(始祖) 김선평(金宣平)은 신라말(新羅末) 고창군(古昌郡) 성주(城主) 안동김씨(安東金氏)(신)의 시조(始祖) 김선평(金宣平)은 신라말(新羅末) 고창군(古昌郡) 성주(城主) 시조 및 본관의 유래 안동 김씨(安東金氏)의 시조(始祖) 김선평(金宣平)은 신라말(新羅末) 고창군(古昌郡) 성주(城主)로서 서기 930년(고려 태조 13) 권행(權幸)․장길(張吉) 등과 함께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와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을 정벌하는데 공(功)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삼중대광 태사 아부(三重大匡太師亞父)의 벼슬에 이르렀다. 안동(安東)은 경상북도(慶尙北道) 북동부(北東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고대(古代)의 창녕국(昌寧國)이었는데 신라시대(新羅時代)에는 고타야국(古陀耶國)․고창군(古昌郡)으로 불리웠고,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견훤(甄萱)과 싸워 전.. 2025. 5. 4.
아산 김씨(牙山金氏), 중시조 김신일(金信金刃) 아산 김씨(牙山金氏), 중시조 김신일(金信金刃) 아산 김씨(牙山金氏), 중시조 김신일(金信金刃) 시조, 중시조아산김씨 시조는 상고할 수 없고 중시조는 김자연(金自淵)의 아들 판서 (判書) 김신일(金信金刃)이다. 인물인물로 김구(金約)는 문파출신으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였고 시호(盆號)는 문장공(文長公)이다. 인구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전국에 377명 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된 희소 성본이다.출처: 한국성씨총감 2005 2025.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