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372

수안 김씨(遂安金氏) 시조, 김선(金愃) 수안 김씨(遂安金氏) 시조, 김선(金愃) 수안김씨의 연원(遂安金氏의 淵源)수안김씨의 선대(先代)는 신라 석탈해왕 9년(서기 65년) 3월 경주의 시림(始林:현재의 鷄林)에서 탄강(誕降)한 대보공(大輔公:金間智)을 비조(鼻祖)로 하여 , 신라 17대 내물왕(奈勿王:재위356-402). 22대 지증왕(智證王: 재 위 500-514) . 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 , 45 대 신무왕(神武王 839-839), 46대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7). 56대 경순왕(敬順王: 재위927-935)을 포함하여, 신라 역사를 빛낸 스물 여덟 조상이 수안 김씨의 직계조상이며, 내물왕은 대보공의 8세손이고, 지증왕은 11세손, 원성왕은 19세손, 신무왕은 22세손, 문성왕은 23세손, 경순왕은 28.. 2025. 4. 28.
선산김씨(善山金氏),선산김씨 시조, 김선궁(선궁계 宣弓系), 선산김씨 유래, 선산김씨조상 선산김씨(善山金氏), 선산김씨 시조, 김선궁, 선산김씨 유래, 선산김씨 조상선궁계(宣弓系) 선산김씨(善山金氏) 선궁계(宣弓系)선산김씨시조 및 선산김씨유래선산(善山)은 경상북도 중서부(中西部)에 위치한 고장으로 신라(新羅) 눌지왕(訥祗王 : 제19대 왕, 재위기간 : 417~765) 때 일선(一善)으로 부르다가 경덕왕(景德王 : 제35대 왕, 재위기간 : 742~765) 때 숭선(崇善)․병정현(竝井縣) 등으로 개칭되었으며, 서기 995년(고려 성종 14) 선주(善州)로 고쳤고, 1413년(태종 13) 지금의 선산(善山)으로 개칭되었다.선산 김씨(善山金氏)의 시조(始祖) 김선궁(金宣弓)은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30세손이며, 문성왕(文聖王 : 신라 제46대 왕, 재위기간 : 839~857)의 8세.. 2025. 4. 27.
선산 김씨(善山金氏) 시조, 김추(金錘), 선산김씨 조상인물 선산김씨시조(善山金氏),김추(金錘)선산김씨조상인물 선산김씨(善山金氏)의 연원과 유래모든 신라김씨(新羅金氏)는 씨족의 근원을 신라초기 태보공(太輔公) 김알지(金閼智)가 서라벌의 시림(始林)에서 탄강(誕降)한 시점으로하여 경순왕(敬順王)까지 28代를 계승(繼承)하였으며 고려조 조선조(高麗朝 朝鮮朝)를 거쳐 250여 종파로 분관(分貫)되어 오늘에 이른다.신라김씨는 만백성의 선두에 서서 신라 천년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창조, 발전시키고 삼국통일(三國統一)의 위업(偉業)을 달성케한 씨족(氏族)이다.선산김씨는 신라왕실의 후손(後孫)으로 경순왕(敬順王)의 제8자(子)이며 고려태조(高麗太祖)의 외손자(外孫子)인 상서령, 일선군(尙書令, 一善君) 김추(金錘)를 시조(始祖)로 하고 관향(貫鄕)을 선산(善山)으로 삼았다... 2025. 4. 27.
설성 김씨(雪城金氏) 시조, 김지선(金之宣), 설성김씨 조상인물 설성김씨시조(雪城金氏),김지선(金之宣),설성김씨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설성김씨(雪城金氏)의 시조 김지선(金之宣)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 아들인 의성군(義城君) 김석(金錫)의 후손이며, 개성 김씨(開城金氏)로 분적한 김용주(金龍珠)의 증손이다.문헌에 의하면 그는 고려 때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 경연과 장서를 맡아보던 관청의 종2품 벼슬)을 지내고 설성(雪城)에 세거하면서 가세가 크게 번창하였으므로, 후손들이 개성김씨에서 분적하고 지선(之宣)을 일세조(一世祖)로 삼아 관향을 설성(雪城)으로 하게 되었다.설성(雪城)은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기도 이천군의 일부지역에 걸쳐있던 옛 지명으로 고구려의 노음죽현(奴音竹縣)을 신라에 와서 음죽(陰竹)으로 고쳐 개산(介山 : 죽산) 군(君)에 속하게 하.. 2025.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