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김씨(全州金氏) 시조, 김태서(金台瑞), 전주김씨 유래, 전주김씨 조상인물

전주김씨시조 및 전주김씨유래(본관)
전주김씨(全州金氏)의 시조(始祖) 김태서(金台瑞)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다.
그는 고려 고종(高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1232년(고종 19)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상장군(上將軍) 등을 지냈으며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와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다.
1254년(고종 4) 식읍(食邑)인 경주(慶州)가 몽고군(蒙古軍)의 병화(兵火)로 인하여 폐허(廢墟)가 되자 가족을 데리고 전주(全州)로 이거(移居)하여 살게 되었으며 그가 죽자, 나라에서는 고종(高宗)과 명종대(明宗代)에 이르기까지 요직을 역임한 명신(名臣)이라고하여 완산군(完山君)에 추봉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후손들이 관향(貫鄕)을 전주(全州)로 삼게 되었다.
전주(全州)는 전라북도(全羅北道) 중앙(中央)에 위치한 도청소재재로써 고대(古代)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城)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百濟時代)에 완선(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리우다가 서기 555년(신라 진흥왕 16)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그후 경덕왕(景德王 : 제35대 왕, 재위기간 : 742~765) 때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견훤(甄萱)이 후백제(後百濟)를 세워 400여 년간 이곳에 도읍을 정하였으나 왕건(王建)이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한때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라 하다가 공민왕(恭愍王) 때 다시 완산부(完山府)가 되었다.
조선조(朝鮮朝)에는 태조(太祖)의 선조(先祖)가 살았던 고향(故鄕)이라고하여 완산유수부(完山留守府)로 개칭하였다가 1403녀(태종 3) 다시 전주부(全州府)가 되었다.
고려조에서 벌족(伐族)으로 명성을 떨친 전주 김씨(全州金氏)는 시조 태서(台瑞)의 아들 3형제가 모두 현달하여 명문(名門)으로서의 기틀을 다졌는데, 장남 약선(若先)은 당대의 세도가(勢道家)인 최 우(崔 瑀)의 맏사위이며 순경태후(順敬太后 : 원종의 비)의 부친(父親)으로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를 지냈고, 차남 기손(起孫)은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원종(元宗)이 즉위하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막내 경손(慶孫)은 고종(高宗) 때의 명장(名將)으로 몽고군이 칩입하자 정주분도장군(靜州分道將軍)이 되어 나가 싸워 귀주성(龜州城)을 지켰고, 1237년(고종 24) 전라도 지휘사(全羅道指揮使)가 되어 나주성(羅州城)에 초적(草賊) 이연년(李延年)의 난(亂)을 평정(平定) 시켰다.
충렬왕(忠烈王)의 총애를 받아 대장군(大將軍)에 오른 혼(琿)은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으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르렀으며, 그의 아들 자흥(子興)은 좌부승지(左副承旨)로 간신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한 공(功)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고 충선왕(忠宣王) 때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조선조에 와서는 성종(成宗) 때 여진정벌(女眞征伐)에 공을 세운 경(敬)이 북방수어장(北方守御將)으로 <경원성주(慶源城主)>의 왕명(王命)을 받들어 아드 4형제를 데리고 그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되어 후손들이 함경도 지방에서 크게 번성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경(敬)을 입북중시조(入北中始祖)로 받들고 있다.
한편 임진왜란 대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낙동강(洛東江) 전투에서 공을 세운 치원(致遠)은 1603년(선조 36)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검열(檢閱)과 감찰(監察)을 거쳐 사과(司果)로 춘추관(春秋館)의 가사관(棋士官)이 되어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그 외 인조(仁祖) 때 이 괄(李 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응추(應秋)가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어 이름을 떨쳤고, 약우(若愚)는 문장(文章)과 글씨로 명성을 날려 가문(家門)의 전통(傳統)을 빛냈다.
전주김씨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義兵將)으로 활약했던 달혼(達渾)의 후손들이 경북 의성(義城)과 안동(安東) 등지에 집중세거하며, 주로 이북지방에서 성족(盛族)을 이루었다.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주김씨는 남한(南韓)에 56,98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전주김씨조상인물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http://www.sungssi.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00000&gisa_idx=11333
전주김씨(全州金氏),전주김씨시조,김태서(金台瑞),전주김씨유래,전주김씨조상인물
전주김씨시조 및 전주김씨유래(본관) 전주김씨(全州金氏)의 시조(始祖) 김태서(金台瑞)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9세손이다. 그는 고려 고종(高宗) 때
www.sungssi.com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주 김씨(貞州金氏) 시조, 김수(金守), 정주김씨 조상인물 (0) | 2025.06.17 |
---|---|
정산 김씨(定山金氏) 시조, 김복수(金福壽), 정산김씨 조상인물 (0) | 2025.06.16 |
여주이씨(驪州李氏, 여강,여흥) 유래 시조와 본관 인구 (1) | 2025.06.11 |
의성 김씨(義城金氏) 시조, 김석(金錫), 의성김씨 유래, 의성김씨 조상인물 (5) | 2025.06.05 |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회안대군파 약사 (1)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