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9 사천 목씨(泗川 睦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1분 뿌리정보사천 목씨 시조와 성씨 조형물 편입니다사천목씨(泗川 睦氏) 시조는 목효기(睦孝基)입니다.고려 고종때 요무장군 낭장동정의 벼슬을 지냈습니다.사천 목씨 조형물의 작품 이름은 '화목 그리고 탄생' 입니다.이 작품은 두 사람의 형태가 마주보는 것은 사천목씨의 문중에 화목한 가운데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함께함을 나타냅니다. 별의 형태는 목씨 문중의 후손들이 찬란하게 빛나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가운데 밝은 원은 목씨의 후손들이 미래를 이끌어 갈 등불이 되고, 영원토록 축복이 있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조각가 김지삼의 작품으로 조형물번호는 22번입니다. 뿌리공원 B구역과 2번구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사천 목씨 문중의 조형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해설은 “한국인의 성씨”가 여러분.. 2025. 5. 11. 공수정(公須正) 공수정(公須正) 고려 때 지방 관청의 재무를 관할하던 관직. 정의고려시대의 향리직.내용병정(兵正)·창정(倉正)의 밑이며, 부병정·부창정의 위의 지위로 호정(戶正)·식록정(食祿正)과 같은 위계였다. 현종 때를 전후한 시기에 성립되었다고 하나 명확하지는 않다.1018년(현종 9)에 정해진 향리의 공복 규정에는, 녹금(綠衿)의 공복을 입고 화(靴)를 신을 수 있었으며, 홀(笏)을 들고 집무하도록 되어 있었다. 병정·창정·호정·식록정 등과 함께 일품군(一品軍)의 교위에 차정(差定 : 사무를 담당시킴)되기도 하였다.참고문헌『고려사(高麗史)』『근세조선사연구(近世朝鮮史硏究)』(천관우, 일조각, 1979)집필자김재명(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5. 5. 11.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완성대군(完城大君)파 약사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에 관한 자료를 전주이씨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에서 발췌하여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에 차례대로 소개합니다.제왕별도조대왕완성대군(完城大君)완성대군(完城大君)파 약사 완성대군의 휘는 종(宗)으로 도조대왕의 제5남이다. 어머니는 경순왕후(敬順王后) 문주박씨(文州朴氏)이다. 대군은 1339년(충숙왕 복위 7)에 태어나 1385년(우왕 10)에 별세하니 향년 65세였다. 고려 때에 벼슬하여 좌윤(左尹)을 지냈고 조선개국후에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배위는 청주한씨로 판결사(判決事) 준(俊)의 딸이다. 1321년(충숙왕 8)에 태어나 1382년(우왕 7)에 돌아가니 향년 62세였다. 대군의 묘소는 함흥부(咸興府) 동명사(東溟社) 탄동(炭洞)에 있고 배위의 묘소.. 2025. 5. 10. 안산김씨(安山金氏) 시조, 김긍필(金肯弼), 안산김씨 조상인물 안산김씨(安山金氏) 시조, 김긍필(金肯弼), 안산김씨 조상인물 시 조안산김씨(安山金氏)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에說)의 후손 김긍필(金肯弼)을 시조(始祖)로 한다.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1024년 (고려 현종 15) 상서 좌복야(尙書左僕야)․상주국(上柱國)․안산현 개국후(安山縣開國候)에 추봉되고 식음(食邑) 1500호(戶)를 하사(下賜)받아, 후손들이 안산(安山)에 정주(定住)하면서 관향(貫鄕)을 안산(安山)으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본관의 유래안산(安山)은 경기도 시흥군(京畿道始興郡) 수암면(秀岩面)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高句麗) 때는 장구현(獐口縣)이었다가 고려(高麗) 초에 안산(安山)으로 개칭되었으며, 서기 191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시흥에 병합되었다.시조.. 2025. 5. 1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