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안산김씨(安山金氏) 시조, 김긍필(金肯弼), 안산김씨 조상인물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5. 5. 10.
728x90

안산김씨(安山金氏) 시조, 김긍필(金肯弼), 안산김씨 조상인물

 

시 조

안산김씨(安山金氏)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에說)의 후손 김긍필(金肯弼)을 시조(始祖)로 한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1024년 (고려 현종 15) 상서 좌복야(尙書左僕야)․상주국(上柱國)․안산현 개국후(安山縣開國候)에 추봉되고 식음(食邑) 1500호(戶)를 하사(下賜)받아, 후손들이 안산(安山)에 정주(定住)하면서 관향(貫鄕)을 안산(安山)으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관의 유래

안산(安山)은 경기도 시흥군(京畿道始興郡) 수암면(秀岩面)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高句麗) 때는 장구현(獐口縣)이었다가 고려(高麗) 초에 안산(安山)으로 개칭되었으며, 서기 191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시흥에 병합되었다.
시조의 아들 은부(殷傅)는 공주 절도사(公州節度使)에 재임시 1011년(현종2) 거란(契丹)의 침입으로 왕(王)이 공주(公州)로 피난왔을 때 지성으로 시종하였고, 맏딸은 어의(御衣)를 지어 바친 인연으로 왕비(王妃 : 원성왕후)가 되었으며, 차녀(次女)는 원혜왕후(元惠王后), 삼녀(三女)는 원평왕후(元平王后)가 되어 세도가문(勢道家門)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그러나 그후의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상계(上系)를 정확히 상고(詳考)할 수 없으므로 고려조(高麗祖)에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오른 충익공(忠翊功) 위(渭)를 일세조(一世祖역)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

위(渭)의 증손(曾孫) 정경(正卿)은 조선 태조(太祖) 때 판예빈시사(判禮賓시事)를 지내고 정조사(正祖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1400년(정조 2)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功)을 세워 좌명사등공신(佐命四等功臣)으로 연성군(蓮城君)에 봉해졌고, 뒤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이르렀다.

그의 다섯아들중 맏아들 지(沚랑)와 셋째 척(滌)은 별장(別將)을, 차남 관(灌)은 상호군(上護軍)을 지냈으며, 넷째 개(漑궁)는 1422년(세종 4) 음보(蔭補)로 벼슬에 등용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올랐고, 막내 한(澣고)은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를 역임하여 가문에 크게 중흥시켰다.

또한 1519년(중종 14)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한 필(珌)은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낸 맹강(孟綱)의 아들로 예조판서(禮曹判書) 맹철(孟鐵), 대제학(大提學) 지(地), 진주목사(晋州牧使) 자형(自刑), 공조참의(工曹參議) 창(敞), 형조참의(刑曹參議) 영(瑛)과 함께 이름을 날렸다.

그밖의 인물(人物)로는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낸 휘(暉)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취길(就吉),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취의(就義)․준(준) 등이 유명했고, 성옥(聲玉)은 대사간(大司諫 : 간쟁과 논박을 맡았던 사간원의 정3품 으뜸 벼슬)을 역임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형(炯), 공조참의(工曹參議) 상빈(尙彬)과 함께 가문의 전통을 이었다.

1795년(정조 1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한 처암(處巖)은 진사(進士) 양직(養直)의 아들로 태어나 여러 벼슬을 거쳐 지평(持平)으로 추관(推官)이 되어 조인을 엄징하지 않은 죄로 순천(順天)에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나와 순조(純祖) 때 집의(執義)를 지냈으며, 명국(命國)은 인조(仁祖) 때 화가(畵家)로 인물(人物)과 수석(水石)을 잘 그렸다.

한말(韓末)에 와서는 경념(敬念)이 옥성(玉城)․흥명(興明)․선화(善化) 등 여러학교를 설립하여 젊은 청년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켰으며, 3․1운동에 참가한 후「독립신보(獨立新報)」발간하고, 해방후에는 반탁(反託) 운동에 참가했으며「대한독립사(大韓獨立史)」를 편찬하는 등 훌륭한 업적을 남겨 가문을 더욱 빛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안산김씨(安山金氏)는 남한(南韓)에 16,99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歷代人物)-안산김씨조상인물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http://www.sungssi.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00000&gisa_idx=11281

 

안산김씨시조(安山金氏),김긍필(金肯弼),안산김씨조상인물

시 조 안산김씨(安山金氏)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에說)의 후손 김긍필(金肯弼)을 시조(始祖)로 한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1024년 (고려 현종 15) 상서

www.sungssi.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