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9 안동 권(權)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안동 권(權)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안동 : 권씨성씨 : 권(權)작품명 : 崇祖와 繁榮조각가 : 于鍾權조형물번호 : 102먼저 안동권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대전 뿌리공원에 안동권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은 숭조와 권문의 번영과 화합이라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그럼 이제 안동권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시조 태사공(太師公) 권행(權幸)은 신라 왕실의 후예로 본명은 신라의 종성 김행(金幸)이었습니다. 권행은 신라 말 경애왕 때 고창(지금의 안동)을 수비하는 중책을 맡고 있었죠. 당시 신라는 계속되는 왕의 실정으로 민란이 자주 일어나 국운이 기울어지자 서기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침입하여 왕을 시해하였습니다... 2024. 9. 12. 의령 남(南)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의령남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의령 남씨성씨 남(南)작품명 화합(和合)과 번영(繁榮)조각가 윤황식조형물번호 101먼저 의령남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작품은 의령 남(南)씨 선조들의 절의와 유서 깊은 역사의 특징을 잘 살려 세련된 형태로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아름다운 곡선의 원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통일된 조화 속에 화합을 뜻하고 원안의 타원은 강한 생명력과 문중의 번영을 의미한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의령남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남씨성(南氏姓)은 신라 경덕왕 14년 시조 영의공(英毅公) 민(敏)이 왕으로부터 남씨(南氏)로 사성받은 것이 시초입니다. 1200년대 고려 후기에 이르러 남씨(南氏.. 2024. 9. 11. 소주 가씨(蘇州 賈氏), 시조 가유약(賈維鑰)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 & 유튜브 채널과 협업 중인 (사)한국뿌리문화보존회 / 한국성씨총연합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780여 개 성씨(본관)의 유래를 시리즈로 연재하여 소개합니다.*2015년 통계청 실시 인구총조사:- 대한민국 전체 인구수 : 49,705,663명- 5인 이상의 성씨 본관 : 532개- 기타 : 91,107명*2015년 기준 대한민국 성씨(姓氏)는 534개, 본관(本貫)은 15,101개이나, 총 인구 수 1,000명 이상의 성씨만 통계청 자료에 수록되어 있다 (통계청 공식발표 PDF파일 기준) .소주가씨(蘇州賈氏), 시조 가유약(賈維鑰)- 시조 가씨(賈氏)는 소주(蘇州)를 단본으로 하며 중국(中國) 주(周)나라 문무(文武)의 후예(後裔)로서 명(明)나라 신종(神宗)때 병부 상서(兵部尙書.. 2024. 9. 10. 경주(월성) 손(孫)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경주(월성)손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경주(월성) 손씨성씨 손(孫)작품명 영명(永鳴)조각가 손영준조형물번호 100먼저 경주(월성)손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1이 작품의 현대적인 이미지의 석종은 자신의 뿌리를 되찾게 해 줄 것이며, 좌대는 우리 모두가 하나로 뭉치려는 의지의 표현으로 원형을 띠고 있습니다.3개의 기둥은 각각 충효(忠孝), 공경(恭敬), 번창(繁昌)을 상징함으로써 과거의 충효사상을 본받아, 현재에 웃어른을 공경하고, 미래로 번창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역동적인 조형과 리듬감을 준 108개의 면은 석종소리의 마디마디를 표현한 것이며, POST의 삼각형 구도는 우리에게 안정감을 부여하고 있죠. 이에 자손만대 번창하는 문중의.. 2024. 9. 10. 이전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