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고성김씨(固城(鐵城)金氏) 시조, 김말로왕(金末露王), 고성김씨조상인물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5. 4. 13.
728x90

고성김씨시조(固城(鐵城)金氏),김말로왕(金末露王),고성김씨조상인물

고성김씨의 연원 

고성김씨(固城金氏)는 6가야국 (六伽倻國) 중 소가야국(小伽倻國)을 건국(建國)한 김말로왕(金末露王)의 후예(後裔)이다.

고성김씨(固城金氏)의 시조(始祖) 김말로왕(金末露王) 은 김해김씨(金海金氏)의 김수로왕(金首露王)이 가락가야국(篤洛伽倻國, 후기 금관가야국)을 건국(建國)할 때 소가야국(小伽倻國)을 건국(建國)하여 왕(王)이 되었다.

김말로왕(金末露王)은 김수로왕과 함께 구지봉(龜旨峰) 에서 탄강(誕降)한 여섯 동자(童子) 중 막내로 금란(金卵)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김씨 성을 갖게 되었고 도읍지가 지금의 경남 고성(鐵城)이므로 본관을 고성(鐵城)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칠성=고성의 옛 지명)

소가야국(小伽倻國)은 건국후 460여년 동안 지속되어 오다가 소가야국(小伽倻國)제 9대 이형왕(而衡王) 29년 신라(新羅) 지중왕 3년(서기 502년) 신라에 패하여 읍성(邑城)을 내주었다.

그러나 이형왕(而衡王)은 항복하지 않고 해도군영자치(海島軍營自治)에 들어가 스스로 총통(總統)이 되어 4대에 걸쳐 해도군영자치를 하였으나 신라 태종무열왕(太宗 武列王) 3년(서기 656년)에 신라의 화청을 받아들여 비로소 신라와 병합하였다.


대표적인 인물

고성김씨(固城金氏)를 빛나게 하신 인물로 빈길(贊吉)은 호(號)가 죽강(竹崗)이며, 시호 (諡號)는 양혜(襄惠)이다. 천자영매(天資英過)하고 경학에 밝았으며 조선태조 (朝鮮太祖)때 왜구를 크게 격파한 공로로 삼도수군도절제사(三道水軍都節制使) 병조판서(兵曹判書), 세자사부(世子師傳) 검교정승(檢校政丞) 철성군(鐵城君)에 피봉 되었다.

후에 고창(高敞)으로 이거(移居) 다시 왜난을 당하여 백의종군 홍덕사진포에서 독전(督戰) 적(敵) 수천명을 참하고 순절(殉節)하시니 증(ffjif) 우의정(右議政) 양혜 (襄惠)를 시호(論號)로 내렸다.

고성김씨(固城金氏)는 2001년 신사대동보(辛巳大同譜) 수보(修譜)시에 지역별로 세분화된 분파명(分派名)을 총 6개파로 통합 축소 개명하였으며 항렬표(行列表) 역시 각파 통일을 기하기 위하여 옛날 족보 무술보(戊戌 譜)를 기준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고성의 군명(郡名)은- 원래 소가야국(小伽倻國)이었으며 신라와 병합된 후 고자군(古自郡), 고주군(固J川郡), 칠성군(鐵城郡), 고성군(固城郡)으로 군명(郡名)이 개명 되었다고 여지도서(飯잡也圖書)중 김해진관(金海盡款)고 성현(固城愚)편(編)에 기록되어 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성김씨는 전국에 13,73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인물-고성김씨조상인물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ungssi.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00000&gisa_idx=11198

 

고성김씨시조(固城(鐵城)金氏),김말로왕(金末露王),고성김씨조상인물

고성김씨의 연원 고성김씨(固城金氏)는 6가야국 (六伽倻國) 중 소가야국(小伽倻國)을 건국(建國)한 김말로왕(金末露王)의 후예(後裔)이다. 고성김씨(固城金氏)의 시조(始祖) 김말로왕(金末露王)

www.sungssi.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