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김씨 (高靈金氏) 시조, 김남득(金南得), 고령김씨 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
일찍이 고려(高麗)시대에서부터 뿌리를 내린 고령 김씨(高靈金氏)는 경순왕(敬順王)의 11세손 의성군(義城君) 김 석(金 錫)의 장손(長孫)으로 고려에서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역임한 김 의(金 宜)의 맏아들 김남득(金南得)을 시조(始祖)로 하고 있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본명(本名)이 기지(麒芝)로 서기 1340년(고려 충혜왕 복위 1) 진사(進士)가 되어 감찰 집의(監察執義 : 사헌부에 소속된 정3품 벼슬)를 지내고, 공민왕(恭愍王) 때 양광도 안렴사(楊廣道按廉使)를 거쳐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다.
그후 사은사(謝恩使)로 원(元)나라에 가서 예부상서(禮部尙書)를 명(命)받고 환국하자, 왕(王)이 익대공신(翊戴功臣)으로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봉하고〈득어영남지의(得於嶺南之意)〉라고 사명(賜名)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이름을 김남득(金南得)으로 하였고,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고령(高靈)으로 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人物)로는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간관(諫官)을 지낸 무(畝 : 시조 남득의 아들)의 아들 4형제가 뛰어났다.
고령(高靈)은 경상북도 남서단에 위치한 옛 대가야국(大伽倻國)의 중심지로서 16대 520년 간을 계승해오다가 서기 562년(신라 진흥왕 23)에 신라(新羅)에 병합되었다.
그후 서기 757년(경덕왕 16) 고양(高陽)으로 불리우다가 1018년(고려 현종 9)에 영천현(靈川縣)이 되었으며, 조선(朝鮮) 태종(太宗) 때 고양(高陽)의 고(高)자와 영천(靈川)의 영(靈)자를 따서 고령(高靈)으로 칭하게 되었다.
맏아들 사행(士行)은 조선 세종(世宗) 때 여산(礪山)․홍산(鴻山) 등지의 부사(府使)를 역임하고 선정(善政)을 베풀어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졌으며 사복시정(司僕寺正)에 올랐고, 차남 사문(士文)은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사충(士忠)은 승지(承旨)를, 막내 사신(士信)은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냈다.
한편 세종(世宗) 때 학행(學行)으로 형조참의(刑曹參議)에 천거된 자숙(自肅)은 사행(士行)의 아들 5형제 중 맏아들이며, 그의 장남 형생(荊生)은 성종(成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감찰(監察)을 역임하여, 하양 군수(河陽郡守)를 거쳐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오른 차남 장생(莊生) 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
서기 1510년(중종 5)에 무과(武科)에 급제한 수(銖)는 고성 군수(固城郡守)․진주 목사(晋州牧使)․순천 부사
(順天府使) 등을 역임한 후 정3품 당상관직인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올랐으며, 아우 구(鉤)는 문과(文科)에 장원하여 하동(河東)․순천(順天)․수원(水原) 등지의 부사(府使)와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명종(明宗)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왜구를 대파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특진한 양촌(陽村)은 1559년(명종 14)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수차에 걸친 호인(胡人)의 침략을 격퇴하다가 전사하여 뒤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그리고 경원 부사(慶源府使) 세문(世文)의 아들 문절공(文節公) 면(沔)은 이 황(李 滉)의 문하에서 성리학(性理學)을 연마하고 많은 후진을 양성했으며, 뒤에 효렴(孝廉)으로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居昌)․고령 등지에서 의병(義兵)을 규합, 진주 목사(晋州牧使) 김시민(金時敏)과 함께 격퇴시켜 그 공(功)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가 되었다.
그외 인물로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천장(千章), 현감(縣監) 충립(忠立), 동지중추부사 춘명(春明), 감찰(監察) 응수(應洙) 등이 유명했고, 현종(顯宗) 때 토산 현감(兎山縣監)을 지낸 초중(楚重)은 어영별장(御營別將) 자(梓), 칠곡 군수(漆谷郡守) 한주(翰周)와 함께 무신(武臣)으로 가문을 빛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통계에 의하면 고령김씨(高靈金氏)는 남한에 15,611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歷代人物)-고령김씨조상인물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sungssi.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00000&gisa_idx=11196
고령김씨시조(高靈金氏),김남득(金南得),고령김씨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 일찍이 고려(高麗)시대에서부터 뿌리를 내린 고령 김씨(高靈金氏)는 경순왕(敬順王)의 11세손 의성군(義城君) 김 석(金 錫)의 장손(長孫)으로 고려에서 전리 좌랑(典理佐郞)
www.sungssi.com
출처 : 한국성씨총감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일 정씨(迎日鄭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0) | 2025.04.13 |
---|---|
고산김씨(高山金氏) 시조 , 김환(金紈) (0) | 2025.04.13 |
진주 강씨(晋州姜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1) | 2025.04.12 |
가평 이씨(加平李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0) | 2025.04.11 |
영산 김씨(永山金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