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슬 관직 용어

겸도사(兼都事)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5. 4. 10.
728x90

겸도사(兼都事) 조선 때 충훈부(忠勳府)에 속한 종5품 관직.

정의
조선 후기 충훈부(忠勳府)에 설치하였던 관직.
내용

품계는 종5품이다. 1865년(고종 2)에 공신 적장자가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을 확대하기 위해 임시직인 가도사(假都事) 1인을 정직인 가도사로 고친 것이다.여기에는 충의위(忠義衛)에 속한 공신 자손의 적장자로서 6품 이상의 관직을 지낸 자 1인을 선발, 임용하였다.

그 선임은 종친부겸낭청(宗親府兼郎廳)의 예에 따라, 충훈부 자체에서 독자적으로 1인을 선정하여 단망(單望 : 한명만을 추천함)으로 재가를 받았다. 그 직임은 도사와 함께 충훈부의 실무를 담당하는 것이었다. →도사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28x90

'벼슬 관직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보덕(兼輔德)  (1) 2025.04.12
겸별장(兼別將)  (0) 2025.04.11
겸교수(兼校授)  (0) 2025.04.09
겸교리(兼校理)  (0) 2025.04.08
검토관(檢討官)  (0)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