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홍주 이(李)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5. 2. 5.
728x90

오늘은 홍주 이(李)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홍주 이씨
성씨 이(李)
작품명 과거 현재 그리고 홍주이씨
조각가 천종권
조형물번호 234

 

먼저 홍주 이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과거, 현재, 미래의 3면을 상징하는 주조형물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홍주이씨 가문의 역사와 화합을 표상하였습니다. 작품 상단의 구와 로고는 우주의 중심으로 비상하는 염원을 담았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홍주이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홍주(洪州)는 본래 고구려의 운주(運州)인데, 고려 현종때 지흥주사로, 후에 홍주로 일제하에 홍성으로 개칭하였고 지금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이르고 있습니다. 홍주이씨(洪州李氏) 시조 이유성(李維城)은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간(幹)의 아들로 정당문학을 거쳐 찬성사에 오르고 흥양부원군에 봉해졌으며, 그의 9세손인 이기종(起宗)이 내시연경궁제학을 지내고 흥양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은 본관을 홍주(洪州)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습니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유성(維城)의 아들 천소(倩笑)가 평장사에 오르고, 손자 이권(鬈)도 평장사를, 증손 이응송(應松)은 판추밀원사를 역임하는 등 3대에 걸쳐 가문을 빛냈습니
다. 이연수(延壽)는 관리부사를 거쳐 수태보주국을 역임하고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이지청도 평장사를 역임했죠.

9세조 이기종은 3남을 두었는데 장남 이성(晟)은 총명하여 약관의 나이에 과거에 등제하시어 제주 벼슬에 이르고 오경에 통달하여 오경사 선생이라 불렸으며 그 뒤에 자헌대부 예조판서 안평백을 증직했습니다.

차남 이서(舒)는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태종 때 영의정을 지낸 내서사인(內書舍人)으로 이성계를 옹립하여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안평군에 봉해졌으며 영의정을 지냈으며 삼남 이표(表)는 병사공(兵士公)의 벼슬에 올라 무관으로 활동하며 삼형제 모두 명망 높은 홍주이씨 가문을 빛냈습니다.

무관으로서 명성을 떨친 16세조 이희건(希建)은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워 진무공신으로 흥양군에 봉해졌고, 정묘호란 때 용골산성 전투에서 분전 끝에 전사했으며 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어 명문인 홍주이씨 가문을 더욱 유명하게 하였습니다(뿌리공원 문중 유래비 인용).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홍주이씨의 인구는 15,968명이었습니다.

https://youtu.be/zIShGYE750Q?si=7iKQIjYB8hTbclPU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