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하양 허(許)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하양 허씨
성씨 허(許)
작품명 가야의 꿈
조각가 이종용
조형물번호 244
먼저 하양 허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작품은 직선의 힘과 곡선의 부드러움을 대칭적 구도로 표현하여, 힘차게 웅비하는 하양허씨 가문의 중심에 가락국 허황후의 후손이며 왕족임을 상징하였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하양허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문헌에 의하면 가락국 김수로왕비 허황후(許黃后)가 아유타국(인도)의 공주로서 16세(서기48년)때 배에 석탑을 싣고 지금의 경남 창원군 능동면 용원리에 있는 부인당으로 들어와 정박을 했는데, ‘김수로왕이 의장을 갖추어 영접하고 왕비로 맞이하였다’고 합니다.
그 후 열 아들을 낳았는데, 하루는 허황후가 수로왕에게 “첩은 동토의 객이 되었는데 사후에 나의 성을 전하지 못하게 되어 한이 되옵니다” 하니 왕이 감동하여 장자는 김씨의 왕통을 잇게 하고, 둘째와 셋째는 어머니 성을 이어(賜姓) 허씨가 되었습니다.그 뒤 가락국은 망하고 그 자손들은 여러 곳으로 흩어져 갔죠.
그때 옛 땅인 김해에 눌러 살게 된 후손은 김해허씨(수로왕의 35세손 허염), 하주에 옮겨 세거한 후손은 하양허씨(33세손 허강안), 공암에 터잡은 자손은 양천허씨(30세손 허선문), 시산에 이거한 후예는 태인 허씨(30세손 허사문)로 각각 고려 초에 관향을 삼게 되었습니다.
또 인천이씨도 허씨에서 갈려나온 성씨이죠. 따라서 김해김씨, 허씨, 인천이씨는 이성동족(異姓同族)으로 한 핏줄이라 할 수 있습니다.金首露王妃 許皇后의 33世孫 河陽許氏 始祖 許康安김수로왕비 허황후의 33세손 하양허씨 시조 허강안 하양허씨(河陽許氏)는 고려 현종 때 호부랑장(戶部郎將)을 역임한 허강안(許康安)을 시조로 하고 있습니다.
그는 가락국 허황후의 33세손으로 전하며, 말년에 하주자사(河州刺史)가 되어 하주(河州ㆍ하양의 옛 지명)에 정착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하주(河州)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다가 지명이 개칭됨에 따라 화성(花城), 이후 하양(河陽)으로 개관하였죠.
주요 인물은 허강안의 손자 허작린(許綽麟)은 고려에서 검교대장군을 지냈으며, 증손 허신(許愼)은 호부주사, 동정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개성 부윤 허귀룡(許貴龍)의 아들 허주(許周)는 우왕 때 지양주사가 되어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을 구축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에는 한성부윤, 경기도 관찰사 등을 지냈으며, 아들 허성(許誠)은 경사(經史)에 밝았으며, 예조,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예문관 대제학을 지냈습니다.
허주의 동생 허조(許稠)는 고려 공양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조선 세종이 즉위하자 예조판서가 되었고, 그 뒤 3차례 이조판서를 지낸 뒤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左議政)에 올라 치사(致仕)하였습니다. 경사에 정통하였으며, 검소한 생활과 강직한 성품으로 신망을 얻었습니다. 세종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경(文敬)입니다.허조의 아들 허후(許珝)는 문종 때 형조판서로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죠.
그는 단종 때 좌참찬이 되어 황보인, 김종서 등과 함께 문종의 유명을 받들어 단종을 보필하는데 앞장섰습니다. 그러나 계유정난이 일어나자 이를 개탄하다가 거제도에 유배되어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중추원 부사 허척(許倜)의 아들 허계(許誡)는 밀양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 받았죠. 그 뒤 병조참의와 경주부윤을 역임하였습니다 (뿌리공원 문중 유래비 인용).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하양허씨의 인구는 20,608명이었습니다.
https://youtu.be/zIShGYE750Q?si=Gb1EkoaucJg57EtR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시중공(侍中公)파 약사 (0) | 2025.02.14 |
---|---|
전주 이씨(全州李氏) 조선선원 혈통계도/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0) | 2025.02.14 |
의성 김(金)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5.02.11 |
무안 유(兪)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 (0) | 2025.02.11 |
교동 인(印)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