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김씨시조2 영산 김씨(永山金氏) 시조, 김영이(金令貽) 영산 김씨 시조(永山金氏) 김영이(金令貽)를 일세조로 하고 본관을 영산(永山)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영산김씨시조신라 제31대 신무왕(神武王)의 넷째 아들 김광익(金益光)의 후예(後裔)로 전하는 영산김씨(永山金氏)의 시조(始祖) 김영이(金令貽)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본관 (本貫)을 영산(永山)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본관의 유래영동(永同)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최남단에 위치함 지명(地名)으로 신라시대(新羅時代)에 길동군(吉同郡)이라 경덕왕(景德王 : 제 35대 왕, 재위기간 : 742~765) 때 영동(永同)으로 고쳤으며, 서기 995년(고려 성종 14) 계주(稧州)로 승격시켜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18년(현종 9) 상주(尙州)에 예속시켰다.1413년(태종 13) 경상도(慶尙.. 2025. 5. 23. 영산 김씨(永山金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1분 뿌리정보영산 김씨 시조와 성씨 조형물 편입니다영산김씨(永山金氏)의 원조는 신라 대보공 김알지이고 신무왕의 후손입니다. 시조는 김영이(金令貽)로 고려말의 전객서령을 역임했으나 사직하고 낙향하여 영동(永同)으로 은거했습니다. 영산 김씨 조형물 작품 이름은 '영산김씨연원' 입니다.이 작품은 조선조의 대학자요, 팔대문장가인 김수온(金守溫)은 창공에 높이 솟은 문필봉의 정기를 받고 태어났다 하여 작품에 문필봉을 상징화 했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예지와 상념일지라도 실천이 있어야 진가가 발휘되죠. 손은 실천을 상징함과 동시에 전진을 상징합니다. 월인천강지곡은 불후의 대작이요, 명작임을 손을 들어 대중에게 과시하고 있죠. 후면의 학은 현실세계와 이상세계를 조화하여 영원히 발전해 가는 영산김씨의 미래상을 상징화 했.. 2025. 4.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