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399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 : 완창대군(完昌大君)파 약사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선원파계 왕자군(104왕자)에 관한 자료를 전주이씨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에서 발췌하여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에 차례대로 소개합니다.#전주이씨_분파 #전주이씨_선원파계 #전주이씨_왕자군 #전주이씨104왕자 #전주이씨_완창대군파 #완창대군 #전주이씨_익조대왕_완창대군제왕별도조대왕완창대군(完昌大君)완창대군파 약사 완창대군(完昌大君)은 도조대왕과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의 제1남이다. 1305년(고려 충렬왕 31)에 출생하여 역동(易東) 우탁(禹倬)에게 수업(受業)하고 원나라의 천호직과 고려 때 좌윤(左尹)을 역임하였다. 조선 태조고황제 등극 후에 병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시호는 `정간(貞簡)'이요 부조묘(不 廟)의 은전을 받았다. 현 종손 희규(熙奎)에 이르기까지 600여 년을 .. 2025. 5. 1.
진주(진양) 하씨(晉州河氏) 시조와 조형물 1분 뿌리정보 1분 뿌리정보진주(진양) 하씨 시조와 성씨 조형물 편입니다진주(진양) 하씨(晉州河氏)는 고려 현종 때 증문하시랑평장사 하공진(河供辰)을 시조로 모신 문하시랑공파와 문종 때 사직 벼슬을 지내신 하진(河珍)을 시조로 모신 사직공파로 나누어져 있습니다.진주(진양) 하씨 조형물의 작품 이름은 '영원(永遠)한 삶' 입니다.이 작품의 형상은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하며 인간의 뿌리가 시조부터 시작되어 가지를 뻗고 번성하여 점차 커다란 거목이 되어감을 표현했습니다. 나무처럼 뻗어 나와 그 그늘로서 만인에게 안식과 풍요를 널리 펼치는 진주하씨(晉州河氏) 문중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조각가 석현의 작품으로 조형물번호는 19번입니다. 뿌리공원 B구역과 2번구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진주(진양) 하씨 문중의 조형물을 만날 .. 2025. 4. 29.
수원 김씨(水原金氏)시조, 김품언(金稟言), 수원김씨 조상인물 수원 김씨(水原金氏)시조, 김품언(金稟言), 수원김씨 조상인물 시 조수원김씨시조(水原金氏 始祖) 김품언(金稟言)은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손자(孫子)로 고려 현종(顯宗 : 제 8대왕, 제위기간 : 1009-1031) 때 거란(契丹)군의 침입을 토평하는 데 공(功)을 세워 충순적덕 정난공신(忠順積德靖難功臣)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삼중대광 보국(三重大匡輔國)에 올라 수성군(隨城君)에 봉해졌다.그리하여 후손들은 선조(先祖)가 봉군(封君)된 수원(水原)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면서 가문을 일으켰다.본관의 유래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고장으로써 고구려 시대에는 매홀(買忽), 통일신라 때에는 수성(水城)으로 불리우다가, 고려.. 2025. 4. 28.
수안 김씨(遂安金氏) 시조, 김선(金愃) 수안 김씨(遂安金氏) 시조, 김선(金愃) 수안김씨의 연원(遂安金氏의 淵源)수안김씨의 선대(先代)는 신라 석탈해왕 9년(서기 65년) 3월 경주의 시림(始林:현재의 鷄林)에서 탄강(誕降)한 대보공(大輔公:金間智)을 비조(鼻祖)로 하여 , 신라 17대 내물왕(奈勿王:재위356-402). 22대 지증왕(智證王: 재 위 500-514) . 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 , 45 대 신무왕(神武王 839-839), 46대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7). 56대 경순왕(敬順王: 재위927-935)을 포함하여, 신라 역사를 빛낸 스물 여덟 조상이 수안 김씨의 직계조상이며, 내물왕은 대보공의 8세손이고, 지증왕은 11세손, 원성왕은 19세손, 신무왕은 22세손, 문성왕은 23세손, 경순왕은 28.. 2025.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