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김씨(金堤金氏) 시조, 김천서(金天瑞), 김제김씨 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
김제김씨(金堤金氏)는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은열(殷說)의 12세 손으로 고려(高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 : 문하성의 종 1품 으뜸 벼슬)을 지내고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진 김천서(金天瑞)가 김제(金堤)에 정착한 것이 시초가 된다.
김제(金堤)는 전라북도 서쪽에 위치한 고장으로, 본래 백제(百濟) 시대에는 벽골(碧骨)로 불리웠으며, 통일신라(統一新羅) 때 김제(金堤)가 되었다.
그의 7세손 김정걸(金正傑)이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개국(朝鮮開國)에 공(功)을 세워 개국삼등공신(開國三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김제군(金堤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김정걸(金正傑)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관향(貫薌)을 김제(金堤)로 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
가문을 빛낸 인물(人物)로는 가헌공(可軒公_ 정걸(正傑)의 아들 희준(熙俊)이 서기 1405년(조선 태종 5)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예천 군수(醴泉郡守)와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을 거쳐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 임금의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던 관청의 정3품벼슬)에 올랐으며, 그의 손자(孫子) 순의(順義)가 구례 현감(求禮縣監)을 지내고 순례(順禮)는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그밖의 인물로는 세종(世宗) 때 연산 부시(연山府使)를 지낸 세효(世孝)와 성종(成宗) 때 영광 군수(靈光郡守)를 지낸 세광(世光)이 유명했으며, 극혜(克혜)는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대가(大駕 : 임금이 타는 수레)를 배종(陪從)하여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고 현령(縣令)을 역임하여, 군자감정(軍資監正) 욱(頊),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 철견(鐵堅), 부호군(副護軍) 천겸(千兼)과 함께 명성을 날렸다.
철종조(哲宗朝)에서는 통정대부(通政大夫)와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을 거쳐 비서승(秘書承)에 오른 연태(然泰)가 이름났고, 희영(熺永)은 고금도 수군절제사(古今島水軍節制使)를 지낸 후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러 길주 목사(吉牧州使) 신걸(神傑)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김제김씨(金堤金氏)는 전국에 3,54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歷代人物)-김제김씨조상인물
김정걸(金正傑) 자(字)는 정지(挺之), 호(號)는 가헌(可軒).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은열(殷說)의 12세손인 천서(天瑞)의 7세손이다. 문과에 급제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로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개국 3등공신이 되었고, 태종원년(太宗元年)에 공을 추증 (追贈) 받아 김제군(金堤君)에 봉해졌다.
김희준(金熙俊) 자(字)는 호여(皥汝). 1405년(태종 5)에 문과에 급제, 예천 군수(醴泉郡守)․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김순의(金順義) 자는 이보(履甫). 구레 현감(求禮縣監)을 역임.
김순례(金順禮) 자는 행보(行甫).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김대로(金大老) 자(字)는 존수(尊叟). 주부(主簿)를 역임.
김원로(金元老) 자는 대수(大叟).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올라 주부(主簿)를 역임.
김세효(金世孝) 자는 행원(行源). 여산 부사(礪山府使)를 지냈다.
김세광(金世光) 자는 채수(彩遂). 찰방(察訪)․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역임.
김 정(金 井) 자(字)는 군보(君甫).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지냈다.
김세현(金世賢) 자는 국필(國弼), 선무랑(宣務郞)․찰방(察訪)을 지냈다.
김경흡(金慶洽) 자(字)는 선단(善濡). 훈련원 봉사(訓練院奉事)를 역임.
김극혜(金克譓) 자(字)는 지숙(知淑), 호(號)는 지명재(知命재(齋). 병자호란 때 대가(大駕)를 배종(陪從)하여 사령국원종공신(社寧國原從功臣)이 되어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에 이르고, 안음(安陰)․군위 현령(軍威縣令)을 역임했다.
김극신(金克信) 자(字)는 인숙(仁淑), 호(號)는 매죽당(梅竹堂). 사령국원종공신(社寧國原從功臣) 2 등에 책록됨.
김철견(金鐵堅) 조선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덩(都正)을 지냈다.
김천겸(金千兼) 자(字)는 천지(千之),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다.
김광성(金光誠) 조선 때 장사랑(將士郞)․훈도(訓導) 등을 역임했다.
김영립(金永立) 조선(朝鮮) 때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올라 절충장군(折衝將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
김상원(金尙元) 조선에서 주부(主簿)를 지내고,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이르렀다.
김필후(金弼垕) 자(字)는 덕원(德源).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라 동지 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김연태(金然泰) 자(字)는 정삼(正三), 호(號)는 지재(止齋), 사시(私諡)는 효정(孝靖). 의금부 도사(議禁府都事)․중추원 의관(中樞院義官)등을 역임.
김희영(金熺永) 자(字)는 경모(敬호謨는), 만성(晩醒). 고금도 수군절제사(古今島水軍節制使)를 역임한 후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김신걸(金神傑) 조선 때 길주 목사(吉州牧使)를 역임.
김평준(金平俊) 조선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주부(主簿)를 지냈다.
김창한(金昌漢) 조선 때 한성부윤(漢城府尹)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했다.
김최경(金最慶) 조선에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냈다.
김낙호(金樂浩) 조선(朝鮮) 때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역임.
김낙홍(金樂泓) 조선(朝鮮) 때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
김팽령(金彭齡) 조선 때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다.
김준령(金俊齡) 조선에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김순택(金淳澤) 조선 때 호조판서(戶曹判書)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역임하였다.
김순달(金淳達) 조선조(朝鮮朝)에 호조 판서(戶曹判書)․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냈다.
김주백(金周柏) 조선 때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
김연승(金然承) 조선에서 북부도사(北部都事)를 역임.
김광백(金光柏) 1833 (순조 33) ~ 1886 (고종 23)
자(字)는 도근(度根), 호(號)는 매석(梅石). 1863년(철종 14)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오위장(五衛將)에 이르렀다.
김연필(金然弼) 조선에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냈다.
김연익(金然翊) 조선 때 풍경궁 참서관(豊慶宮參書官)을 역임.
김연태(金然泰) 조선 때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을 역임.
김지인(金知仁) 조선 때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냈다.
김중곽(金重钁) 조선조(朝鮮朝)에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냈다.
김봉래(金鳳來) 조선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
김영립(金永立) 조선 째 공조 참판(工曹參判)을 역임.
김진욱(金振昱) 조선(朝鮮)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
김억두(金億斗) 조선에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김연호(金然灝) 자(字)는 석전(石田). 승훈랑(承訓郞)에 이르렀다.
김희백(金熙柏) 조선 때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역임.
http://www.sungssi.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00000&gisa_idx=11213
김제김씨시조(金堤金氏),김천서(金天瑞),김제김씨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 김제김씨(金堤金氏)는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은열(殷說)의 12세 손으로 고려(高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 : 문하성의 종 1품 으뜸 벼슬)을 지내고 월성
www.sungssi.com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화김씨(金化金氏) 시조, 김경언(金景言), 김화김씨 조상인물 (1) | 2025.04.13 |
---|---|
김포김씨(金浦金氏) 시조, 김규(金珪), 김포김씨 조상인물 (1) | 2025.04.13 |
김녕김씨(金寧金氏)시조, 김시흥(金時興), 김녕김씨 조상인물 (0) | 2025.04.13 |
금산김씨(錦山金氏) 시조, 김신(金侁), 금산김씨 조상인물 (0) | 2025.04.13 |
금릉김씨(金陵金氏) 시조, 김무득(金無得), 금릉김씨 조상인물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