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의대부(嘉義大夫)
정의
조선시대 종2품 상계(上階) 문관의 품계.
내용
1522년 (중종 17) 가정대부에서 가의대부로 개칭되었는데, 이는 당시 명나라 세종이 새로 즉위하여 연호를 ‘가정(嘉靖)’으로 정하였기 때문에 이를 피해 고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가정(嘉正)’으로 고쳤다가, 음이 같다 하여 다시 ‘가의’로 개정하였던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영록대부(榮祿大夫)에 해당한다. → 가정대부
참고문헌
『태종실록』
『중종실록』
『경국대전』
『속대전』
『조선초기양반연구』(이성무, 일조각, 1980)
집필자
이영춘
728x90
'벼슬 관직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인의(假引儀) (0) | 2025.02.15 |
---|---|
가선대부(嘉善大夫) (0) | 2025.02.13 |
가덕대부(嘉德大夫) (0) | 2025.02.12 |
가감역관(假監役官) (0) | 2025.02.12 |
당상관(堂上官)과 당하관(堂下官)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