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김씨2 경주김씨(慶州金氏) 시조, 김알지(金閼智) 경주김씨(慶州金氏) 시조, 김알지(金閼智) 경주김씨의 연원경주김씨(慶州金氏)는 신라(新羅) 56대(代) 경순대왕(敬順大王)이 고려(高麗)에 손국(遜國)하자 옛 수도(首都)인 금성(金城)을 경주(慶州)라 개칭(改稱)하였다. 그런데 경주김씨(慶州金氏)의 기원(起源)은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를 시조(始祖)로 한다. 김알지(金閼智)는 서기(西紀)65년 신라(新羅) 석탈해왕(昔脫解王) 9년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의 나무가지에 걸려있던 금궤(金櫃)에서 태어났다해서 성(姓)을 김(金)으로 하였다.대보공(大輔公)의 칠세손(七世孫) 미추(味鄒)가 석조분왕(昔助賁王)의 여(女) 광명부인(光明夫人)을 취(娶)하여 사위가 되었는데 석첨해왕(昔沾解王)이 후사(後嗣)가 없이 승하(昇遐)하시니, 석첨해왕(昔沾解王).. 2025. 4. 8. 경주 김(金)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오늘은 경주 김(金)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경주김씨성씨 김(金)작품명 화합과 번영조각가 김지삼조형물번호 110먼저 경주김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고고한 신라 천년의 여명을 열어, 하늘을 찌를 뜻한 용맹과 기상으로 웅비의 새 역사를 창조하고, 새 시대 광명의 세대에만백성과 더불어 이 땅에 화평과 안락을 이루어 자손만대 번영과 복락을 누리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다.그럼 이제 경주김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경주김씨 시조는 신라 대보의 벼슬을 지낸 김알지이다.그는 서기 65년 봄 3월 밤에 지금의 경주시 교동소재의 계림에서 탄강했다.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의하면, 왕이 금성 서쪽에서 닭우는 소리를 듣.. 2024. 9.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