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감진어사(監賑御使) 조선 때 지방에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보살피고 구제하는 일을 감독하던 암행어사로 대개는 정3품 당하관인 시종 중에서 선발 임명하였다. 이 때 파견되는 어사가 당상관(堂上官)일 때는 끝자에 사(使)자를, 당하관일 때는 사(史)자를 붙였다.
이칭
구황어사(救荒御使), 진휼어사(賑恤御使), 위유감진어사(慰諭監賑御使), 위유어사(慰諭御使), 위유사(慰諭使)
정의
조선 후기, 기근이 들었을 때 지방관의 진휼 상황을 관리 · 감독하기 위하여 파견된 왕의 특명 사신.
어사 파견의 목적
감진어사의 명칭 변화와 활동
조선 전기에는 구황어사(救荒御使)라는 명칭으로 확인되며, 조선 후기에는 진휼어사(賑恤御使)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숙종 때부터 ‘감진어사’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영조 때 이후에는 ‘위유(慰諭)’라는 명칭이 붙어 위유감진어사, 위유어사, 위유사 등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감진어사로 명칭이 바뀌기 이전의 진휼어사는 도내(道內)를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진휼 상황을 살피고, 현장에서 굶주린 백성을 직접 구제하기도 하였다. 반면, 숙종 때 감진어사로 명칭이 바뀐 뒤에는, 직접적인 진휼보다는 관리 · 감독하는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지방 감사의 진휼 업무를 보완하는 위치를 갖게 되었다.
감진어사는 중앙과 파견 지역을 오가며 감사가 확보한 진휼곡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진휼곡을 마련하여 보급해 주는 권한과 역할을 가졌다. 『승정원일기』 숙종 44년 1월 4일의 기록을 보면 숙종은 “어사가 감진(監賑)의 책임을 맡아 곡물을 청하여 얻으려 함은 마땅하다.”라고 하여, 감진어사의 진휼곡 요청을 핵심적 역할로 인정하였다.
의의 및 평가
집필자
김미성(연세대 연구교수)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28x90
'벼슬 관직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찰대부(監察大夫) (0) | 2025.03.12 |
---|---|
감찰(監察) (1) | 2025.03.10 |
감역관(監役官), 선공감(繕工監) (0) | 2025.03.08 |
감신(監臣), 육부소감전(六部少監典) (0) | 2025.03.07 |
감수국사(監修國史)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