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인경씨 시조(泰仁景氏),경여송(景汝松),태인경씨 조상인물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5. 3. 3.
728x90

태인경씨시조(泰仁景氏),경여송(景汝松),태인경씨조상인물

 

시조 및 본관의 유래

우리나라 경씨(景氏)는 중국(中國) 진양(晋陽 : 태원을 달리 일컫는 말)의 초(楚)나라 공족(公族: 황곡의 동족, 왕족)에 연원(淵源)을 두고 있으며, 은(殷)나라 현인(賢人) 기자(箕子)를 호종(扈從)하여 동래(東來)해 온 경여송(景汝松)이 평양(平壤)에 정착(定着) 함으로써 문호(門戶)가 열렸다고 한다.

태인(泰仁)은 전라북도(全羅北道) 정읍군(井邑郡)에 속해있는 지명(地名)으로 신라시대(新羅時代)의 태산(泰山: 대산 또는 대시산이라고도 함)과 고려(高麗)의 인의(仁義)를 합한 명칭(名稱)이다.

경씨(景氏)의 본관(本貫)은 태인(泰仁)과 해주(海州)를 비롯하여 충주(忠州)․경주(慶州)․밀양(密陽)․장연(長淵)․치등(置等 : 전북 순창지방)․능향(綾鄕 : 전북 태인지방)․복흥(福興 : 전북 장수지방)등 10여 개의 관향(貫鄕)이 있는 것을 전(傳)하나 태인(泰仁)과 해주(海州)를 제외한 본관(本貫)은 미상(未詳)이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조(高麗朝)에서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 왕명의 출납․숙위․군기 등에 관한 일을 맏아보던 종 2품 벼슬)를 지내고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라 태산군(泰山君)에 봉해진 경차(景 磋)를 시조(始祖)로 하고, 사공(司空)을 역임한 상조(祥租 : 예정의 맏아들)를 태인파(泰仁派)로, 좌복야(左僕射)를 지낸 상록(祥錄 : 예정의 차남)을 해주파(海州派)를 하여 가계(家系)를 이어오면서 고려말(高麗末)과 조선전기(朝鮮前期)에 걸쳐 무용(武勇)을 떨침으로써 가문(家門)의 성세(盛勢)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인물

특히 제조(提調 : 각 사, 또는 청의 관제사으이 우두머리가 아닌 사람에게 그 관청의 일을 다스리게 하던 종1,2품의 관원)를 지낸 훤(喧)의 아들 세정(世貞)은 활을 잘 쏘아 명성을 날렸고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와 경기도 병마절도사(京畿道兵馬節度使)를 역임하면서 나라에 공훈을 세워 시산군에 봉해졌으므로 아들 일창(日昌 : 수문전 태학사를 지냄)과 함께 이름을 떨쳤으며, 정당문학(政堂文學) 희(曦)는 벼슬이 태학사(太學士 : 조선 때 홍문관 대재학을 달리 일컫던 말)에 이르러 치사(致仕)했다.

한편 응순(應舜)은 통사(通事)로서 임진왜란 때 활동하다가 왜군(倭軍)에게 죽음을 당했고, 기(耆)는 예문관 대

제학(大提學 :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는 일을 맏아보던 정 2품의 벼슬)을 겨펴 시산군(時山君)에 봉해졌다.

그밖의 인물(人物)로는 첨의평리(僉議評理)를 거쳐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한 인(寅)과 현감(縣監)을 지낸 극중

(克中)․시행(時行 : 어사 청의 아들)․세성(世誠 : 거륜의 아들) 등이 유명했으며, 흔(昕)은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여 판관(判官)을 지낸 덕윤(德潤)과 함께 가문(家門)의 전통(傳統)을 이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태인경씨(泰仁景氏)는 전국에 총 1,22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 & 유튜브 채널과 협업 중인 (사)한국뿌리문화보존회 / 한국성씨총연합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780여 개 성씨(본관)의 유래를 시리즈로 연재하여 소개합니다.

이 게시물은 서기 2005년 3월 30일자로 <한국성씨총연합회>에서 발행한 [한국성씨총감]에 수록된 내용을 이곳 한국인의 성씨 밴드페이지에 소개한 것임을 밝혀둡니다.

*2015년 통계청 실시 인구총조사(매 15년마다 실시):
- 대한민국 전체 인구수 : 49,705,663명
- 5인 이상의 성씨 본관 : 532개
- 기타 : 91,107명

https://youtu.be/zIShGYE750Q?si=hivuB85vlucP5xFo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