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녕 김(金)씨 문중의 유래와 조형물

by 뿌리 찾는 심마니 2024. 8. 30.
728x90
오늘은 김녕 김(金)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를 유교수가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함께하시죠.
김녕김씨
성씨 김(金)
작품명 씨의 근원
조각가 金豊圭
조형물번호 92

먼저 김녕김씨 문중이 설치한 조형물을 살펴볼까요.

이 조형물은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상징하는 천지인(天地人)의 표현으로 선조의 뿌리와 근본, 그리고 후손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있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김녕김씨 문중의 유래에 대해 돋보기로 비춰보겠습니다.

김녕김씨의 관조(貫租)는 신라김씨의 시조 대보공 김알지(金閼智)의 35세손이며 신라 제56대 경순왕의 8세손으로 고려 인종때 한림원에 오르고 병부시랑으로 큰 공을 세워 광록대부 평장사(光祿大夫 平章事)의 벼슬에 올라 김녕군(金寧君)에 봉군된 문열공(文烈公) 김시흥(金時興)입니다.

김녕김씨는 효와 충절을 최고의 가치로 간직하고 있는 가문으로 김녕군 7세손 김질(金秩)은 태조 이성계의 출사제의를 거절하고 아산 도고산(道高山)에서 수절했습니다. 9세손 충민공(忠愍公) 김인찬(金仁贊)은 조선개국 일등공신으로 정일품 의정부 좌찬성에 올랐죠.

9세손 충의공(忠毅公) 백촌 김문기(金文起)는 공조판서 겸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로서 단종의 복위모의를 주도하고 영도자 위상에서 군동원을 맡아 세조의 패륜을 응징코져하였으나 간인의 밀고로 발각되어 순절한 사육신중 최영도자이죠.

10세손 영돈령(領敦寧) 김준은 세종때 정일품 돈령부 영돈령의 관직에 올랐으며 세조의 좌의정 제의를 거절 충절을 지켰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정란공신(靖亂功臣) 13세손 충정공(忠貞公) 김준영(金俊榮), 겁암공 김영년(金永年)과 분성군(盆城君) 김응수(金應壽) 충경공(忠敬公) 김경세(金景世), 충숙공(忠肅公) 김흔(金欣) 등이 있죠.

항일독립운동의 의병대장 김도현(金道鉉), 항일열사 김한종(金漢鍾)은 광복회를 조직 독립군 양성 군관학교를 설립하여 3.1독립운동을 불러일으키게 했습니다. 기미독립운동 33인 민족대표 김병조(金秉祚)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 국무총리, 부총리, 중앙정보부장, 국가정보원장, 각 부처장관 및 대법관, 헌법재판관, 국회의원, 검찰총장, 공군참모총장, 육군대장, 공군대장을 비롯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예술계 등 명문거족으로서 충효혈통가문을 빛낸 자랑스러운 김녕군(金寧君)의 후예들입니다(뿌리공원 유래비에서 인용).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녕김씨의 인구는 290,092명이었습니다.
 
 

https://youtu.be/zIShGYE750Q?si=oQpGJhrJ8DGz3mZh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