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사복1 겸사복장(兼司僕將) 겸사복장(兼司僕將) 조선 무관의 관직으로 종2품이었으나 뒤에 정3품이 되었다.정의조선시대 정예 친위대(親衛隊)의 하나였던 겸사복의 지휘관.내용내장(內將)이라고도 하였다. 종2품의 무관직으로 정원은 3인이었으나, 모두 다른 부서의 관원들로 겸직하게 하였고 문관들이 겸하는 경우도 많았다.겸사복이 편성된 것은 1409년(태종 9)이었으나, 겸사복장은 1461년(세조 7)에 와서 처음으로 4인이 임명되었는데, 여기에는 홍달손(洪達孫)·구치관(具致寬)·조석문(曺錫文)·김순(金淳) 등 당시 핵심적인 세조공신들이 망라되었다.1464년에는 겸사복의 조직이 정비되어 종2품 아문으로 직제화되고 특수병종인 겸사복 50인이 배속되었는데, 이때 겸사복장의 정원도 3인으로 정해졌다. 이들의 임무는 궁궐의 경비와 궐내순찰, 국왕 .. 2025. 4.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