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감목관1 감목관(監牧官) 감목관(監牧官)정의조선시대 지방의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종6품 외관직.내용마정(馬政)이 고대부터 교통·군사·축산·외교상의 필요로 크게 중시되자 전국 각지에 목장이 설치되고, 거기에 따른 갖가지 시설과 제도 및 관원이 생겼다.고려시대에는 내륙과 섬에 설치되었던 목장에 목감(牧監 : 牧監直)과 노자(奴子 : 후에는 牧子)를 배치해 직접 마필의 사육에 종사하게 하였다. 또 간수군(看守軍)인 장교와 군인을 배치해 목장을 간수하도록 하였다.조선 초기 대명외교(對明外交)에서 마필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자 목장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책이 실시되었다. 처음에는 목장이 있는 각 고을 수령에게 그 곳 목장 관리 업무를 겸임하게 했다가, 1426년(세종 8)에 각 도의 목장 소재지에 전임의 감목관을 두었다. 그 뒤.. 2025. 2. 28. 이전 1 다음